금융당국이 올해 초부터 '상생금융'이라는 기치를 내세우며 여러 금융사에 방문하고 있습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금감원) 이복현 원장의 상생금융 외침은 올해 초부터 이뤄졌는데요. 그는 상생금융을 위해 지난 2월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까지 4대 시중은행을 모두 방문했습니다. 또 BNK부산은행, DGB대구은행과 같은 지방은행도 찾았고요. 이들 은행은 이 원장 방문에 맞춰 상생금융안을 내놓았습니다.
이 같은 상생금융 돌풍은 제2금융권으로까지 퍼졌는데요. 지난달 29일 우리카드는 영등포구 굿네이버스 본부에서 이복현 원장, 소상공인연합회 오세희 회장, 굿네이버스 김중곤 사무총장, 우리금융그룹 임종룡 회장, 우리카드 박완식 사장, 금감원 박상원 부원장보, 소상공인 대표 등이 참석한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여기서 우리카드는 카드업계 최초로 2200억 원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책을 공개했는데요. 이 카드사의 지원책은 연체차주에 대한 저리 대환대출과 채무감면, 가맹점주 대상 상권분석 및 마케팅 제공 등의 방안으로 구성됐습니다.
이 자리에서 이복현 원장은 "카드사 등 제2금융권이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나서면서 중‧저신용자에 대한 자금 공급이 과도히 축소되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습니다. 취약계층에 대한 자금 공급이 위축되지 않도록 신경 써달라는 입장을 내비친 것이죠.
또 이달 13일에 열렸던 한화생명의 '상생금융 및 취약계층 지원행사'에서 이 원장은 "어려운 대내외 환경에서도 청년 및 취약계층 등을 위한 경제적 지원 및 사회 안전망을 구축해 줘 (한화생명에) 감사하다"며 "이런 고민과 노력이 계속해서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하기를 기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한화생명이 여기서 발표한 상생금융 상품은 '2030 목돈마련 디딤돌 저축보험'이란 5년 만기 저축보험인데요. 가입 대상은 가구소득 중위 200% 이하인 만 20~39세까지로 은행의 '청년도약계좌' 대비 가입 대상을 확대했으며 보장금리는 5년간 5%가 기본입니다.
현대카드와 현대커머셜은 지난 7일 약 6000억 원 규모의 ▲소외계층 신규 대출 ▲영세사업자 금융지원 ▲상용차주 금융 지원 ▲취약차주 채무 정상화 프로그램 ▲소상공인 마케팅 지원 등의 상생금융안을 내놨고요.
이런 가운데 롯데카드는 다음 달부터 취약 차주 채무 정상화 프로그램, 대출금리 인하, 대출 상환 기간 연장 및 소상공인에 대한 카드 이용액 캐시백 등이 포함된 3100억 원 규모의 상생 금융을 시행할 계획입니다. 더불어 업계 1위 신한카드도 오는 17일 상생금융 지원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이 외 다른 금융사들 역시 부랴부랴 상생금융 방안을 준비 중이지만, 한편으로는 착잡한 마음도 숨기지 않고 있습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당국이 강요하는 것은 아니지만, 당국과 함께 발맞춰 걸어가는 타 보험사들이 있다 보니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관련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털어놓네요.
또 다른 보험사 관계자는 "과거에도 취약계층을 위한 상품이 여러 곳에서 나왔지만, 막상 가입하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며 "이번 한화생명 상품의 반응을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고요. NH농협생명이나 동양생명처럼 약관대출 금리를 내리는 방식을 고려한다는 곳도 있었습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강하게 추진하는 정책이기 때문에 쉽게 외면할 수 없다는 의견을 전했고, 다른 카드사 관계자도 "업황이 힘든데도 카드사들이 느끼는 당국의 압박이 심할 수밖에 없다"는 호소를 했습니다.
이 원장도 이런 금융사들의 고충을 이해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는데요. 그는 한화생명의 상생금융 협약식 이후 기자들에게 "비은행이라든가 기타 업권은 일률적으로 상생금융을 부탁하거나 요구하기에는 사정이 크게 다르다는 점을 알고 있다"며 "결코 여력이 없거나 포트폴리오 운영상 적절치 않은 회사에 권하지 않는다"고 제언했습니다.
다만 그러면서 "금융사에서 수익이나 마케팅 측면에서 (상생금융안 마련)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뒤, 그 자리에 내가 오는 게 필요하다고 요청하면 언제든 함께할 용의가 준비됐다"며 "절 부르든 안 부르든 상생금융에 동참하는 회사에 감사하다"고 첨언했는데요. 이래저래 서민 삶을 더욱 팍팍하게 만든 원흉 중 한 축이라는 국민들의 질타와 함께 당국의 압박과 기대에도 부응해야 하는 금융사들이 응당히 감당할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