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제주 2인의 발인을 마치고 지난달 30일부터 치러진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들의 장례절차를 모두 마무리하며 사고 발생 11일 만에 179명의 고귀한 삶과 넋을 우리의 손이 닿을 수 없는 곳으로 떠나보내게 됐습니다.
이달 4일까지였던 국가애도기간에는 무안공항을 비롯해 전국 시·도와 시·군·구 등 105곳에 설치된 합동분향소에 20여만 명이 찾아와 희생자들을 추모했죠.
사고가 일어난 그날, 얼마나 혼란스러웠을까요? 당시 국토교통부 기록을 보면 사고 직후 무안국제공항 폐쇄에 이어 오전 9시29분부로 활주로 폐쇄를 알리는 '노탐'을 게시했습니다. 이후 올 1월1일 오전 5시까지 활주로 폐쇄 조치를 연장하면서 무안국제공항에 이착륙하는 제주항공과 진에어, 캄보디아항공 등 모든 항공편이 결항됐고요.
활주로 폐쇄·상태, 비행체 발사 및 군사훈련, 항공보안 관련 시설과 업무 등의 변경, 위험의 존재 등의 정보를 운항 관계자에게 알리는 국가고시(告示) 노탐(NOTAM·Notice to Airmen, 항공고시보)은 기상정보와 함께 항공기 운항에 필수 정보입니다.
안전성 논란이 있는 기종의 공항 이착륙과 영공 통과 금지, 중요인물 탑승 항공기 이착륙, 수능으로 인한 이착륙 금지도 노탐으로 통지하고요. 우리나라의 경우 노탐은 국토교통부 산하 항공교통본부 항공정보통합관리 사이트(http://aim.koca.go.kr/xNotam/?language=ko_KR)에서 확인할 수 있죠.
노탐은 지난 1947년 4월4일 발효된 국제민간항공정보서비스 허가로 상용화한 이래 조종사들이 비행 전 반드시 확인하고 있습니다.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짐작할 수 있듯 노탐 체계에 이상이 생기면 엄청난 혼란이 야기됩니다.
이와 관련해 서울대학교 출신으로 이 학교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장인 이재열 사회학과 교수는 미국 항공정보 체계 오류 사태 등은 한 번 발생 시 예상되는 피해가 엄청나게 파국적이라고 제언하네요.
사례 하나를 소개할까요? 재작년 1월12일, 노탐 체계 마비로 미국 국내선 및 미국착발 국제선 1만2000여 편이 지연 및 결항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이 여파에 따른 전 세계 항공 지연 편수는 같은 날 2만422건, 취소는 2887건이었고요. 사고 원인부터 얘기하자면 손상된 데이터베이스와 노후화한 시스템 탓으로 미국 항공 인프라 전반의 안정성을 의심하는 상황이 벌어졌었죠.
미국 전 공항 이륙 중단 사태는 2001년 9·11테러 이후 처음으로 그때 외신들을 보면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사태 하루 전, 내부파일은 물론 복구 체계 손상에 따른 노탐 체계 오류를 발견했고 적정한 조치를 검토하다가 재부팅을 선택했습니다.
이후 운행량이 비교적 적은 11일 오전 5시경 수동 재부팅으로 해당 문제는 해결했으나 정상화 검증을 위해 항공기 이륙 중단 명령을 하달한 후 이 사태가 발생했던 거죠. 미국에 이어 인접국 캐나다에서도 2시간 후 노탐 체계 오류가 있었으나 다행스럽게 이 나라의 복구 체계는 정상적으로 작동해 별다른 혼란은 없었습니다. 그래서 미국 항공 체계에 대한 비판이 더 커졌고요.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노탐 체계 이상에 따른 혼란은 없었지만 미국 연방항공청 기술에 기반한 만큼 보다 기술적으로 독자적인 관련 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겠죠.
외신들은 2023년, 미국 전 공항 이륙 중단 사태가 있던 날을 '혼돈의 날'(Day of Chaos)이라고 통칭했습니다. 부디 올해는 이륙뿐 아니라 사회 및 경제 전반에서 지난해의 혼돈을 털고 몇 해간 이어지던 '평온의 날'(Day of serenity)을 되찾길 바랍니다.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