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E 금융] KB자산운용이 미국과 중국 인공지능(AI) 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목표전환형 펀드를 추가 출시.
20일 KB자산운용에 따르면 'KB 미중 AI테크 목표전환형 3호 펀드'는 미·중 AI 밸류체인 투자를 통해 수익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국내 우량 채권 자산에 투자해 안정성을 확보하는 상품. 포트폴리오 비중은 주식 50%, 채권 50%. 해당 상품은 'KB 미중 AI테크 목표전환형 1·2호 펀드'인데, 두 상품 모두 목표수익률을 조기 달성.
목표 수익률은 7%며 A클래스 기준 누적 운용 수익률이 목표치를 달성하면 주식 관련 자산을 모두 매도하고 채권 재간접형 펀드로 전환, 국내 채권 관련 자산에 주로 투자.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포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보면 휴머노이드 로봇과 자율주행차를 포함한 물리적 AI 시장 규모는 오는 2032년까지 약 5배 이상 성장 전망. KB자산운용은 이 같은 산업 구조적 변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 기술(반도체·클라우드·AI 소프트웨어 등)과 응용 산업(로봇·자율주행·스마트 제조 등)을 동시에 포괄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
주요 투자기업을 살펴보면 미국 ▲알파벳 ▲테슬라 ▲엔비디아 ▲팔란티어 ▲메타 플랫폼즈 등을 비롯해 중국 ▲샤오미 ▲텐센트 ▲알리바바 등.
그 외 50%는 국내 우량 채권에 투자하는 단기채 상장지수펀드(ETF)와 머니마켓펀드(MMF) 등에 투자해 리스크를 분산, 안정적 이자 수익을 추구.
이 상품은 KB국민은행, KB증권, 신한은행, 농협은행, 부산은행, 유안타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IM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한화투자증권, 삼성생명 등에서 가입 가능하며 오는 31일까지 모집 후 당일 곧바로 설정할 예정.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미국과 중국의 AI 산업은 기술 개발부터 응용 서비스까지 여러 단계로 구성된 밸류체인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음. 보통 ▲데이터 ▲인프라 ▲연산칩 ▲모델&플랫폼 ▲애플리케이션(앱) 등 다섯 단계로 나뉘는데, 팔란티어, 알리바바, 오픈AI, 테슬라, 샤오미 등 주요 기업들이 각 단계에서 역할을 충실히 이행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