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배달업체 배달의민족(배민) 중개 수수요율이 현행 9.8%에서 2~7.8%로 인하된다. 22일 우아한형제들에 따르면 배민은 다음 달 26일부터 상생 요금제를 도입한다. 이는 작년 배달플랫폼 상생협의체에서 업주들의 경제적인 부담 완화와 수익 구조 개선을 지원하고자 타결한 상생안에 따른 것. 우선 상생 요금제는 '배민1플러스'를 이용하는 업주를 대상이며 매출 규모에 따라 네 개 구간으로 나눠 중개이용료와 업주 부담 배달비를 차등 적용한다. 매출 기준 하위 65% 구간 업주의 경우 주문 금액과 상관없이 배달 영업 비용이 현재보다 감소한다. 특히 하위 20% 구간에 속하는 업주는 공공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수준의 중개이용료를 적용받는다. 만약 평균 주문금액인 2만5000원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하위 20% 구간 업주는 배달 한 건당 기존 대비 1950원, 20~50%는 750원, 50~65%는 550원의 비용 감소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차등수수료 구간은 이전 3개월 내 배민1플러스를 하루 이상 이용한 업주가 대상이며 일평균 배달 매출을 기준으로 해 산정할 예정이다. 각 구간 산정 기간 종료일 직전 1개월 이내 배민1플러스 이용을
[IE 생활정보] IBK기업은행에서 처음 거래하는 고객에게 심플한 우대 조건으로 고금리를 제공하는 비대면 전용 '처음 만나는 IBK적금'이 등장. 22일 기업은행에 따르면 이번 상품은 최고금리 연 7.0%(세전)의 1년제 자유적립식 상품. 월 적립한도는 최대 30만 원이며 선착순 3만 좌 한도로 i-ONE Bank(개인)에서 가입 가능. 기본금리는 연 3.0%로 우대금리 조건은 ▲기업은행 입출식 통장에서 적금으로 자동이체를 3회 이상 한 경우 연 2.0%포인트(p) ▲가입 시점 상품서비스 마케팅 문자 수신 동의 상태인 경우 연 2.0%p ▲기업은행 신용(체크)카드를 발급하고 결제계좌를 기업은행의 입출식 통장으로 지정한 경우 연 2.0%p로 구성. 세 가지 조건 중 두 가지 이상을 충족하면 우대금리 최대 연 4.0%p가 제공. 만약 우대금리를 더해 7.0%의 금리가 적용된다고 가정했을 경우 1년 동안 매달 30만 원씩 넣으면 받을 수 있는 이자는 얼마나 될까. 원금은 360만 원이며 세후 이자는 약 11만5479원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IE 금융] 신한자산운용 'SOL 조선 TOP3 플러스'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이 연초 이후 1300억 원 이상 증가하며 6000억 원을 돌파. 22일 신한자산운용에 따르면 이 ETF의 최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수익률은 각각 ▲29.12% ▲48.85% ▲56.29% ▲110.73%를 기록. 또 최근 1년간 개인투자자 순매수 금액은 2149억 원인데, 이는 이달 21일 기준 1위(레버리지·인버스 제외, 한국거래소 기준). 해당 ETF는 국내 조선산업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ETF다. 3대 조선사인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을 비롯해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등 조선사 비중이 80% 이상. 더불어 ▲HD현대마린솔루션 ▲한화엔진 ▲한국카본 ▲HD현대마린엔진 ▲동성화인텍 ▲태광 ▲하이록코리아 ▲세진중공업 등 조선기자재 기업을 포함해 총 13종목에 투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을 표시한 조선업 협력 등 양국 경제협력의 기회요인은 적극 활용하겠다"고 제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선박이 필요하지만, 더 이상 자국에서 배를 만들
[IE 금융] 금융당국이 기업공개(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기관 투자자의 의무보유 확약을 확대하고 수요 예측 참여 자격·주관사 책임을 강화하기로 한 것. 또 상장폐지 요건을 강화하고 개선 기간을 축소한다. 21이 금융위원회(금융위), 금융감독원(금감원), 한국거래소(거래소), 금융투자협회(금투협), 자본시장연구원은 서울 거래소 콘퍼런스홀에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공동세미나'를 개최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 이 방안들은 오는 7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기관 수요 예측 참여 자격↑…제재도 강화 우선 신중한 수요 예측 참여를 위해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확대' 방안을 공개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작년 국내 증시에 상장된 77개 IPO 종목 가운데 74개(약 96%)에서 기관투자자가 상장일에 '순매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기 투자자 역할을 해야 할 이들이 상장 직후 바로 매도를 통해 차익 실현에 나선 것. 당국은 이런 단기차익 투자로 수요 예측 과열·적정 공모가 산정 저해 등이 발생해 새내기 주가 상장일에 급등한 후 지속 하락하는 현상이 일어난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 중 40% 이상을 확약 기관
[IE 산업] 롯데웰푸드(280360가 제빵 사업 매각을 검토 중으로 확인됐다. 20일 금융감독원(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웰푸드는 제빵사업 매각설과 관련해 "현재까지 제빵사업 부문 운영 관련해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 확정된 바는 없다"며 "구체적인 사항이 결정되는 시점 또는 1개월 이내에 재공시하겠다"고 공시했다. 현재 롯데웰푸드는 브랜드 '기린'이라는 빵 제품을 판매 중인데, 시장 점유율은 낮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를 보면 지난해 상반기 소매점 매출 기준으로 제조사별 시장 점유율은 SPC삼립이 69.2%로 가장 높았으며 롯데웰푸드가 9.8%였다. 이에 앞서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롯데그룹이 최근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 제빵사업 부문 매각 주간사로 KB증권을 선정했다는 소식이 들렸다. 매각 대상은 제빵 부문 생산 시설인 수원 공장·부산 공장·증평 공장이며 희망 매각가는 1000억 원대 선으로 알려졌다. 지난 2022년 롯데제과와 롯데푸드가 통합, 출범한 롯데웰푸드는 양 사의 생산 시설이 중복돼 효율화 작업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한편,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롯데웰푸드는 전 거래일 대비 400원(0.39
[IE 금융] 신한투자증권이 공모주 청약 고객을 대상으로 '공모주 이벤트'를 실시. 20일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이 증권사는 오는 6월30일까지 '공모주 이벤트' 신청자 중 공모주 청약 완료 고객 대상으로 매월 2000명씩 추첨을 통해 해외주식 상품권 ▲5000원(1000명) ▲1만 원(500명) ▲2만 원(300명) ▲3만 원(200명)을 제공. 이는 익월 15일까지 지급. 올해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로 꼽히는 LG CNS는 이달 21~22일 양일간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청약을 실시. KB증권, 미래에셋증권, 신한투자증권, 대신증권, NH투자증권, 하나증권을 통해 청약을 진행. 앞서 LG CNS는 지난 9~15일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 최종 공모가를 희망공모가액(5만3700원~6만1900원) 최상단인 6만1900원에 확정. 신한투자증권 이벤트는 같은 달 여러 번 공모주 청약을 진행하면 당첨 확률이 높아지며 공모주 청약이 없는 달은 경품이 미지급. 단, 이번 달에 경품 당첨된 고객이 익월에도 당첨이 가능하지만 같은 달 중복 당첨은 불가. 이벤트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 신한 SOL증권 애플리케이션(앱) 및
[IE 산업] 미국에서 오는 22일(현지시각) 출시되는 삼성전자의 신제품 갤럭시 S25 시리즈에 탑재될 새 인공지능(AI) 기능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달 22일 오전 10시(현지시각) 미국 새너제이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25' 행사를 개최해 갤럭시 S25를 공개한다. 삼성전자가 선공개한 동영상을 보면 미팅 장소에 향하는 고객에게 한층 더 개인화된 갤럭시 S25 AI는 생활 패턴, 일정, 날씨, 교통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 해외여행을 갈 경우 '나우바'를 활용해 공항까지 몇 시에 가야 하는지, 이동 중 어울릴 만한 음악, 여행지 날씨, 현지에서 이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앱) 등을 제공한다. 나우바는 잠금화면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활동을 한눈에 보여주는 기능이다. 해외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샘모바일을 보면 유튜브에서 동영상을 보는 동안 주요 내용을 자동 요약하고 영상 속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도 선보일 가능성이 높다. 갤럭시 S25에 도입되는 새 '그리기 어시스트'는 간단한 스케치, 텍스트, 음성 등을 입력하면 AI가 정교한 이미지로 바꿔준다. 예를 들어 S펜을 통해 아기를 그리고 꽃밭이라는 텍스트를 추가하면 꽃밭에
[IE 산업] 롯데칠성음료가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논알코올 맥주시장에 대응하고자 클라우드 맛과 향을 구현한 '클라우드 논알콜릭' 출시.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 집계를 보면 국내 논알코올 맥주 시장 규모는 지난 2021년 415억 원에서 2023년 644억 원으로 2년 만에 55.2% 성장. 여기 더해 작년 5월 '주류 면허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주류면허법 시행령)' 개정안이 통과돼 마트에서 구매해 가정에서 즐기던 논알코올 제품을 음식점에서 마실 수 있게 되면서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 20일 롯데칠성음료에 따르면 클라우드 논알콜릭은 특수 효모를 사용해 발효 시 알코올 생성을 제한하는 클라우드만의 발효 공법이 적용. 또 생산 공정상 인위적인 알코올 분리 과정을 거치지 않아 자연스러운 맥주의 풍미가 특징. 더불어 독일산 노블홉과 호주, 캐나다산 맥아 등 프리미엄 원재료를 사용해 풍부한 몰트향도 선사. 이 제품은 알코올 도수 1도 미만의 저칼로리 비알코올 맥주(350ml기준 50kcal)며 클라우드의 브랜드 패밀리룩 디자인이 적용. 롯데칠성음료는 '완벽한 일상메이트, 완성형 논알코올 맥주'라는 콘셉트에 맞춰 유명 일러스트레이터 이규영 작가와 협업한 삽화를 온라
[IE 산업] 초고령 사회에 빠르게 접어들면서 약 427조 원에 이르는 퇴직연금시장에서 은행권의 경쟁도 가열되고 있다. 18일 금융감독원(금감원) 연금포털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42개 퇴직연금사업자 적립금은 427조1916억 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같은 기간 은행연합회 공시를 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은행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178조7906억 원으로 전년 55조3386억 원 대비 15.1% 증가했다. 이 기간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가장 높은 은행은 신한은행(45조9153억 원)이었으며 KB국민은행(42조481억 원)과 하나은행(40조2734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순증 규모를 보면 전년 대비 6조6000억 원 이상 뛴 하나은행이 42개 사업자 중 2년 1위를 차지했다. 5대 은행의 원리금 보장형 수익률 평균은 3.602%이었는데, 하나은행이 3.73%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하나은행 측은 "은행권 최초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 판매 및 채권 직접투자 도입, 퇴직연금 전문 상담센터 도입 등 차별화되고 선도적인 퇴직연금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주식과 같은 투자상품을 편입해 수익을
[IE 산업] 검찰이 200억 원대 횡령 및 배임 혐의로 기소된 남양유업 홍원식 전(前) 회장 가족이 개인적인 용도로 37억 원 상당의 회사 자금을 유용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홍 전 회장 일가, 명품·이사·해외여행비 회사 자금서 유용…배임 추가 기소 17일 검찰과 남양유업에 따르면 홍 전 회장은 앞서 기소된 200억 원대 횡령·배임 혐의로 기소된 가운데 부인 이운경 전 고문과 두 아들 홍진석, 홍범석 전 상무가 37억 원 상당의 회사 자금을 유용한 혐의로 추가 기소됐다. 이들은 유명 명품을 약 50차례 회사 자금을 통해 구매 외에도 ▲개인 주거지 이사 ▲개인 미술품 철거 비용 ▲해외여행 경비 ▲가전제품·가구·생활용품 구매 ▲휴대전화 요금 ▲호텔 피트니스 클럽 연회비 ▲일가 전용 차량 및 운전기사 비용 ▲자전거 용품·문구류·제과점‥배달음식 등 소액 결제 ▲친교 모임 연회비 등을 법인 비용 처리했다. 이에 검찰은 가족 3명을 추가로 재판에 넘겼고 이로써 홍 전 회장 일가와 관련된 횡령 및 배임 금액은 총 256억 원이 됐다. 이와 관련해 남양유업 측은 60년 홍 전 회장의 '오너 경영'이 막을 내렸으며 작년 4월 새로운 경영진으로 체제가 변경됐기에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