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보험硏 "국내서도 감염병 리스크 대비할 보험 상품 개발해야"

[IE 금융] 과거 신종 인플루엔자, 메르스나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와 같은 감염병에 대한 위험을 보장하는 보험 상품이 개발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험연구원 송윤아 연구위원은 17일 '감염병 리스크 대비 보험 상품 개발 필요'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의료기술 발전과 방역체계 강화에도 감염병 발생 빈도와 감염병 위험에 대한 경제적 민감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감염병으로 인한 경제적 민감도의 증가는 ▲국가 간 이동 증가 ▲도시화 및 인구 밀도 증가 ▲사람과 동물 간 접촉 증가 ▲기후변화 ▲국가 간 교역 증가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이유로 지난 1918년 발생해 세계인구의 2.8%인 5000만 명이 사망한 스페인 독감이 현재 발생할 경우 약 8000만 명이 사망할 것이라는 분석도 등장했다. 

 

송 위원은 "감염병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감염, 치료 및 격리, 사망에 따른 인적 손실과 경제주체들의 불안심리로 인한 경제활동 위축 및 글로벌 공급망 실패에 따른 손실"이라며 "무역과 관광업이 세계 경제의 약 18%를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세계 경제는 감염병에 매우 취약한 편"이라고 진단했다.

 

우리나라도 이런 타격을 피해갈 수 없다. 지난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2015년 메르스에 이어 코로나19 감염증 사태 당시 경제적 피해액이 컸기 때문이다. 일례로 메르스는 2조3010억 원의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별도의 감염병 리스크를 보장하는 보험 상품이 없다. 발생 가능성은 작지만 사고 발생 시 손실 규모가 큰 데다가 피해액 산출이 어려워 보험사들이 꺼리기 때문이다.

 

이에 송 위원은 해외 사례로 '전염병 지수형보험'을 꼽았다. 실제 해외에서는 관광이나 항공산업과 같이 전염병 및 경영성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감염병 민간산업을 대상으로 전염병 지수형보험 개발이 논의되고 있다. 지수형보험은 감염병 때문에 발생한 손실금액이 아닌, 일정 기간 감염된 사람의 수처럼 객관적인 지표에 따라 보상 금액이 결정되는 상품이다.

 

송 위원은 "해외 모델링 기업들은 국가단위 방역수준, 인구밀도, 인구이동, 운송패턴 등과 같은 변수들을 이용해 감염병 리스크의 발생 가능성 및 영향도 예측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에서는 기상청과 보험업계가 기후 예측의 불확실성으로 기업의 손실을 보장하기 위해 날씨 민감산업을 대상으로 날씨변화에 따른 손실액을 보상하는 지수형보험을 개발한 바 있다"며 "유사 상품을 만들 수 있을지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