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증권사 해외 대체투자 '부실·요주의' 7.5억 원…전체 투자 중 15% 차지

 

[IE 금융] 국내 증권사들이 부실·요주의로 분류한 해외 대체투자 규모가 7조5000억 원(15.7%)에 달했다. 전체 해외대체 투자 규모는 48조 원이다.

 

4일 금융감독원(금감원)이 발표한 '증권사의 해외 대체투자 현황 및 향후 대응방안'에 따르면 증권사 22곳의 해외 대체투자 규모는 48조 원(864건)으로 집계됐다. 

 

부문별로 보면 작년 4월 말 기준 부동산에 23조1000억 원(418건), 지난해 6월 말 기준 특별자산에 24조9000억 원(446건)을 투자했다. 이 가운데 31조4000억 원(65.4%)은 투자자에게 재매각했으며 16조6000억 원(34.6%)은 증권사가 직접 보유하고 있다.

 

증권사의 해외투자는 주로 국내 운용사 펀드를 인수한 뒤 재매각 또는 보유하거나 역외 펀드를 기초로 파생결합증권(DLS)을 발행·판매하는 방식이다.

 

이 중 증권사 자체적으로 부실·요주의라고 분류한 건은 7조5000억 원(해외 부동산 4조 원, 해외 특별자산 3조5000억 원)인데, 이는 전체 투자 규모 48조 원의 15.7% 수준이다. 요주의는 원리금 연체와 같은 발생 가능성이 상당한 투자 건, 부실은 원리금 연체 발생으로 손실이 예상되는 투자 건을 뜻한다.

 

증권사 직접 보유분 16조6000억 원 중 부실·요주의 분류 규모는 2조7000억 원(16.0%)이며 투자자 대상 재매각분 31조4000억 원 중에서는 4조8000억 원(15.5%)이다.

 

특히 재매각분 4조8000억 원 중 역외펀드를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DLS의 부실·요주의 규모는 2조3000억 원(전체 DLS 발행액 3조4000억 원의 68%)을 기록했다. 독일 헤리티지 펀드처럼 DLS 발행사가 투자위험을 부담하지 않거나 사전 검증 절차가 미흡했던 게 큰 원인으로 꼽혔다.

 

금감원은 향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 국가 간 교역 축소 등의 영향으로 호텔, 항공기, 무역금융채권 등 투자 관련 추가 부실화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주기적으로 실태를 점검해 취약점이 드러나거나 투자자 보호 관련 위법 개연성이 높다고 판단될 경우 현장검사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