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품 밖에 버릴 게 없는 소가 쫓아낸 마마

1796년 오늘은 영국 의학자로 예방 의학의 기초를 만든 에드워드 제너가 세계 처음 우두법을 실험한 날입니다. 현대 의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류 첫 백신 개발자 제너는 우두 접종으로 천연두를 예방한 것은 물론 백신(그리스어 vacca에서 유래)이라는 명칭까지 만들며 과학적 실험을 거쳐 효능을 입증해 정부 차원의 백신 의무화를 이끈 면역학의 아버지입니다.

 

제너는 우두(Cowpox)에 시달렸던 사람은 천연두의 공포에서 자유롭다는 점에 착안해 인수공통전염병의 틀에 집중하며 백신을 창안했습니다. 우두에 걸린 소는 우두 특유의 콧물, 궤양 등 이상증상을 겪으면서도 끝내 생존하는 사실을 파악하고 사람에게 적용한 거죠. 

 

대두창바이러스(Variola major)와 소두창바이러스(Variola minor) 두 종류의 두창바이러스에 감염돼 발생하는 전염병인 천연두는 두창, 포창, 호역, 곰보병, 적사병 등의 다른 이름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마마(媽媽) 또는 큰손님이라고 부른 이유는 무속에 기인한 것으로 병을 일으키는 귀신같은 존재에게 최대한 격식을 갖춰 빨리 되돌려 보내려는 의도였고요. 

 

소두창보다 높은 치명률의 대두창바이러스는 피부에 상처를 남겨 30% 이상인 치명률에서 살아남은 이들 중 85%가량은 곰보 탓에 주변인들의 기피대상이 됐습니다. 특히 유럽에서는 18세기 이전까지 매년 40만 명이 천연두로 사망했는데 아동의 치명률은 80%에 달했다고 합니다.

 

 

근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시달리던 전 세계를 다시 시름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던 엠폭스(MPOX)는 천연두 등 오르토폭스바이러스(Orthopoxvirus) 속의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가 일으키는 희귀 인수공통전염병입니다.

 

원래 명칭은 'Monkeypox'였으나 작년 11월경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 이슈로 'MPOX'(우리나라 명칭은 엠폭스)라는 이름을 갖게 됐습니다. pox는 천연두나 수두 등의 발진질병을 일컫고요.

 

이런 가운데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지날짜로 지난 11일 엠폭스를 대상으로 발령했던 최고 수준의 공중보건 경계령인 국제 공중보건 위기상황(PHEIC) 선포를 작년 7월 이래 10개월 만에 해제했습니다. 이에 따라 PHEIC 발령 질병은 소아마비만 남게 됐고요.

 

최근 3개월간 엠폭스 발병 건수는 직전 3개월과 비교해 90% 가까이 급감했고 주요 발병 지역과의 협력으로 확산 통제에 진정이 이어졌다는 게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의 설명입니다. 

 

엠폭스 국내 발생 현황은 지난 12일 0시 기준에서 갱신되지 않았는데 14일 현재 모두 70건이 확인됐습니다. WHO에서 엠폭스의 PHEIC를 해제했으나 우리나라는 감염자 발생이 이어지는 만큼 위기 단계 조정을 하지 않았고요. 

 

제너가 창시한 종두법 보급 덕에 천연두는 1977년 발병이 마지막입니다. 더 이상의 발병 사례가 없어 2011년 박멸한 우역(牛疫)보다 30년도 더 앞서 인류가 처음 박멸한 병으로 기록됐고요.

 

PHEIC에서는 벗어났지만 아직 박멸 상황은 아니라 은근히 걱정이 됩니다. 엔데믹(감염병 주기적 유행·풍토병)을 선언한 코로나19는 어쩔 수 없더라도 인류가 없앤 천연두처럼 엠폭스도 씨를 말렸으면 합니다. 소는 하품 밖에 버릴 게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고생만 하던 소가 떠난 외양간은 상시 보수 중이고요. 외양간에 모실 은혜로운 존재를 발견하길 기대합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