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企 70% 이상 채용 계획… 정작 관심은 고령자들만

청년 한정 일시적 지원 外 현실 직시한 인력수급대책 마련 필요

[IE 산업] 국내 중소기업 과반수 이상은 올해 신규 인력을 채용한다는 계획이 있었다. 다만 전년도보다 채용 계획을 세운 기업은 줄었지만 평균 채용 인원은 늘었다.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이 14일 내놓은 '2023년도 채용동향조사'를 보면 조사 결과 올해 채용계획이 있는 응답 기업은 71%였다. 지난해 76.6%와 비교해 5.6%포인트 내려간 수치지만 채용계획 인원은 6.6명으로 같은 기간 4.3명에서 2.3명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 채용 계획 인원은 300인 이상 기업이 86.2%로 최다였고 차순위는 ▲100~299인 82.6% ▲50~99인 74.4% ▲10~49인 67.4% ▲10인 미만 52.6%였다. 

 

작년 조사 결과는 기업 규모와 무관하게 채용을 계획한 기업 비율이 고루 70%대를 상회했던 만큼 올해와 대조를 이뤄 중소기업계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는 게 중소기업중앙회 측의 설명이다.

 

또 올해 채용 규모를 묻는 항목에서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라는 응답은 62.9%, 확대는 27.4%, 축소는 9.7%로 파악됐다. 한편 이 조사는 지난 4월17일부터 28일까지 우수 중소기업의 구인 정보 제공 플랫폼인 '참 괜찮은 중소기업'에 있는 중소기업 1031개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런 가운데 지난 5월 대한상공회의소가 청년 구직자 300명에게 직장 선호도를 복수응답으로 물은 결과, 대기업과 공공 부문이 각각 64.3%, 44%에 달했고 중소기업은 15.7%에 그쳤다.

 

아울러 중장년창업기술센터의 이직 및 신규 채용 관련 자료를 참고하면 중소기업 모집 공고가 나올 경우 대부분 고령 인력만 지원하는 게 현실로 최근에는 40대 지원자조차도 보기 힘들다. 이런 만큼 청년에 한정한 일시적 지원 외에 현실을 꿰뚫는 인력수급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게 중장년창업기술센터 측의 지적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대기업과 중견기업에 비해 규모가 작으면서도 소유 및 경영 독립성을 부분적으로 갖춘 중소기업은 업종별 매출액에 따른 규모기준과 5000억 원 미만의 상한기준이 있는 업체.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직전 년도 재무제표 상 상시 노동자수 1000명, 자산 총액(직전 사업년도 말일 현재 대차대조표에 표시된 자산총액) 5000억 원 이하, 직전 3년 평균 매출액 1500억 원, 자기 자본 500억 원 이하 기업. 

 

큰 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직원 복지, 임금, 사회 안전망 등이 직원 채용의 최대 걸림돌이라 양질의 개선책을 마련하지 않는 이상 현재의 중소기업 기피 현상이 지속될 것이 자명하다는 우려 팽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