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연봉 불만에 짐 싼다…" 정규직 10명 중 7명 '이직 고려'

 

[IE 경제] 전국의 20~40대 정규직 근로자 10명 가운데 7명이 이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직을 계획하는 사유 1순위는 '금전 보상 불만족'이었다.

 

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에 따르면 20~40대 정규직 근로자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근로자 이직 트렌드' 조사 결과 이직을 고려 중이라는 답변이 69.5%로 집계됐다. 특히 20대 응답자의 83.2%, 30대 응답자의 72.6%가 '이직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이직 고려 사유는 '금전 보상에 대한 불만족'이라는 응답이 61.5%로 가장 많았으며 ▲과도한 업무량(32.7%) ▲기대보다 낮은 평가(27.4%) ▲회사 실적 부진 등 미래에 대한 불안(26.6%) ▲개인적 성장을 위해(25.7%)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응답자의 67.8%는 '이직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 79.8%, 30대 67.0%, 20대 49.6%였다. 이직 유경험자의 이직 횟수는 평균 2.8회였으며 이직 유경험자 중 3회 이상 이직을 경험한 비중이 47.1%였다.

 

이직 유경험자에게 과거 이직 성공 요인을 물은 결과 '직무 관련 경력'이라는 응답이 56.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차별화된 직무 역량(27.9%)' '직무 관련 자격증(7.3%)' '인맥 관리(5.8%)' 등이 있었다.

 

이직 의미에 대한 질문에서는 '연봉 인상 수단'(49.5%)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개인적 성장 기회(31%)' '역량 검증 수단(12.3%)'이라는 답변도 등장했다.

 

이직 유경험자 68.5%는 이전 직장보다 높은 연봉을 받고 현 직장으로 옮겼다고 답했다. 이전 직장 연봉과 비교해 '1~10% 상승'이라는 응답(33.8%)이 가장 많았으며 '11~30% 상승(27.0%)' '30% 초과 상승(7.7%)' 등이었다.


/이슈에디코 김지윤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일자리이동통계'에 따르면 재작년 직장을 옮긴 이동자는 415만9000명으로 전년 대비 19만7000명 늘었지만,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의 이동률은 12% 수준. 또 재작년 일자리를 옮긴 임금근로자 233만7000명 중 65.1%는 이전보다 임금이 증가한 곳으로 이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