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QR로 편하게 결제" 신용카드사, QR코드 공통 규격 제정

 

[IE 금융] 국내 주요 카드사들이 소비자와 가맹점의 편리하고 안전한 모바일 결제를 지원하고자 QR결제 공통 규격을 제정했다. 소비자는 휴대전화 기종과 상관없이 카드사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QR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

 

27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 등 6개 카드사는 이달부터 공통 QR결제 서비스를 시작한다. 나머지 카드사들도 올 하반기 안에 공통 QR결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공통 QR결제를 지원하는 가맹점은 ▲하나로마트 ▲이케아 ▲메머드커피 ▲메가MGC커피 ▲이디야커피 등이다.

 

이번에 새로 도입된 시스템은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QR결제를 하나로 통일한 서비스다. 공통 규격을 제정하기 전에는 카드사마다 다른 QR을 사용하면서 결제 단말기가 지원하는 종류에 따라 결제가 불가능한 카드도 있었다. 

 

가맹점의 경우 카드사 QR결제를 단일 규격으로 처리할 수 있어 운영 비용 절감 및 결제 처리 속도 개선 등 효율성이 향상될 전망이다. 

 

공통 QR규격은 글로벌 표준을 바탕으로 제정되면서 확장성도 갖췄다. 적용된 글로벌 표준은 비자카드·마스터카드·유로페이 등에서 채택한 EMV 규격이다. 

 

보안 측면에서도 강력한 암호화 기술과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돼 결제 시 개인정보와 금융정보의 안전을 보장한다. 

 

협회는 "올해 소비자가 주로 이용하는 가맹점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통해 공통 QR규격의 안전성을 검증했다"며 "주요 편의점 및 약국 등 가맹점 추가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정희수 소장은 지난달 열린 여신금융협회 '여신금융 제77호-신용카드 결제인프라의 선진화에 대한 고찰' 세미나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컨텍리스 결제방식이 확산됐고 EMV(유로페이·마스터카드·비자카드) 등이 이를 주도하고 있다"고 언급.

 

그러면서 "이런 전 세계적 흐름에도 국내 결제방식은 아직 IC칩 결제에 머물러 있으며, 단말기 교체 비용 부담에 발목이 잡혀있다"며 "하루 빨리 이해 당사자들이 모여 시대적 흐름에 대응하고 결제인프라를 새롭게 정비해야 한다"고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