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美 트럼프, 韓 상호관세 25% 부과…금융당국, 비상대응체계 가동

 

[IE 금융] 트럼프 행정부가 우리나라에 상호관세 비율을 25% 부과하자 금융당국이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했다.

 

2일(현지시각)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미국과의 교역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기본 관세는 오는 5일(현지시각) 자정 1분에 발효된다.

 

여기 더해 무역흑자 규모가 큰 개별 국가의 경우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 명령을 발표했는데, 우리나라 상호관세 비율은 25%다. 중국(34%)과 대만(32%)보다는 낮지만, 유럽연합(20%)와 일본(24%)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이에 한국은행(한은)은 관련 점검회의를 열고 24시간 점검체제를 가동해 면밀히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한은은 본관에서 유상대 부총재 주재로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금융·외환시장을 점검했다.

 

유 부총재는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는 국가별 관세율이 높았고 대상국가도 광범위했다는 점 등에서 시장 예상보다 강하다"며 "주요국 대응 등 향후 전개 상황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국외사무소 등과 연계한 24시간 점검체제를 통해 관련 리스크 요인 전개양상과 국내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필요할 경우 적기에 대응하겠다"며 "또 글로벌 교역여건 변화, 주요국 성장·물가 및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점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융감독원(금감원)도 같은 날 이세훈 수석부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해 미국 상호관세 발표에 따른 금융시장 동향을 논의했다.

 

금감원 이세훈 수석부원장은 "미국의 관세조치 내용이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도는 공격적인 수준으로 글로벌 증시 하락과 성장 둔화 우려가 확대됐다"며 "더욱이 국내에서는 4일 예정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등으로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필요한 시장 안정 조치가 즉각 실행될 수 있도록 24시간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일일 모니터링 체계 강화와 대내외 리스크 요인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시장 불안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라"고 직원들에게 주문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작년 대미 수출액은 전년보다 10.4%가 증가한 1278억 달러 기록. 우리나라의 주요 미국 수출 품목은 ▲자동차 ▲반도체 ▲석유제품 ▲배터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