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달 5일 방영한 MBC '나 혼자 산다'에서 출연자들이 OTP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출처: MBC 방송화면 캡처) |
혹시 이달 5일 방영한 '나 혼자 산다' 보셨나요? 이날 방송 이후로 주말 내내 여러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는 'OTP'가 올라왔었는데요. 나 혼자 산다에 출연한 배우 성훈이 폰뱅킹과 보안카드를 쓰자 다른 출연자들이 더 편한 OTP의 존재를 모르냐고 얘기했기 때문입니다. OTP의 실물을 본 성훈은 깜짝 놀랐고요.
성훈 외에도 여러 사람들이 이 방송 덕분에 OTP를 처음 알게 됐다고 합니다. 제 친구들 역시 'OTP가 무엇인지도 몰랐다' '나 혼자 산다에서 처음으로 봤다'는 얘기를 하기도 하네요.
OTP는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One Time Password device)의 줄임말입니다. 인터넷뱅킹이나 폰뱅킹을 이용할 때마다 다른 비밀번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인데요. 해킹 위험을 줄이고자 만들어진 이 기기는 고액을 이체할 경우 꼭 필요합니다.
OTP 이체 한도는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1회 최대 이체 한도는 1억 원, 1일 최대 이체 한도는 5억 원입니다.
![]() |
지난 6월 말 기준 OTP 발급건수 및 거래건수 (출처: 금융결제원) |
그렇다면 현재 얼마나 많은 이들이 OTP를 사용하고 있을까요? 한국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56개 금융사의 누적 OTP 발급 수(유효 기기 한정)는 2296만576건입니다.
OTP는 외국에서 꽤 예전부터 보편화됐는데요. 한국에서는 미래테크놀러지가 2003년 국내 최초 토큰형 OTP를 개발했습니다. 카드형 OTP는 2007년에 세계 최초 한국에서 개발됐습니다. 또 IC카드를 전용 애플리케이션(앱)에 갖다 대면 번호가 뜨는 스마트 OTP도 있습니다. 아울러 카드형 OTP 기능을 결합한 신용·체크카드 상품도 등장했죠.
토큰형(일반) | 토큰형(PIN 입력방식) |
OTP발생기 화면에 비밀번호가 출력되며 30초~1분에 한 번씩 자동으로 비밀번호가 변경. ![]() |
OTP발생기에 키패드가 존재하며 4자리 PIN번호를 입력해야 일회용 비밀번호가 화면에 출력.![]() |
카드형 | 스마트 OTP |
카드에 부착된 전원 버튼을 누르면 일회용 비밀번호가 화면에 생성.![]() |
스마트폰과 IC칩을 접촉하면 일회용 비밀번호가 스마트폰 화면에 생성.
![]() |
결합형 | 모바일 OTP |
신용·체크카드에 카드형 OTP 기능을 결합해 카드형과 동일하게 이용. ![]() |
모바일 은행앱에서 신청하면 일회용 비밀번호가 앱 안에서 생성. ![]() |
TZ OTP | OTP별 가격? |
스마트폰 안전영역인 TZ에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 스마트폰 화면에 출력.![]() |
토큰형 OTP : 5000원 카드형 OTP: 1만 원 스마트 OTP: 3000원 내외(회사별 상이) 모바일 OTP: 대부분 무료 TZ OTP: 2500원 |
앞서 설명한 기기 없이 은행 애플리케이션(앱)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OTP도 나왔는데요. 지난 2015년 KB국민은행을 시작으로 여러 은행, 증권사, 저축은행 등에서 도입하고 있는데요. 그러나 몇몇 은행 스마트 OTP는 타 은행 연계가 안 되거나 이체 한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금융결제원은 금융 소비자의 이용 편의성을 강화하고자 지난 1월 모바일 OTP인 'TZ OTP'를 출시하기도 했는데요. TZ OTP는 OTP공동업무에 참여하는 56개 금융회사에서 등록 후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재 KDB산업은행에서만 발급할 수 있습니다.
발급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 토큰·카드·스마트 OTP 발급은 은행에 직접 가야 하며 발급 비용은 각각 5000원, 1만 원, 3000원입니다.
이와 달리 ▲한국산업은행 ▲한국씨티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우정사업본부 ▲NH투자증권은 비대면 신청 시 직접 배달해주죠.
TZ OTP는 TZ OTP 공동앱을 내려받은 뒤 KEB산업은행 인터넷뱅킹·스마트폰뱅킹에서 비대면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발급 수수료는 2500원이라고 하네요.
토큰형 OTP 배터리의 잔량은 화면 상단이나 왼쪽에서 확인 가능한데요. 혹은 배터리 방전 5주 전부터 bAtt0500 메시지를 먼저 표시한 후 OTP를 생성하는 기기도 있습니다. 카드형의 경우 전원 버튼을 약 4초 정도 길게 누르고 있으면 액정 우측에 배터리 잔량이 표시됩니다.
![]() ![]() ![]() |
기기별 다른 배터리 잔량 표기. (출처: 금융결제원) |
만약 OTP 배터리가 다 닳을 경우에는 다시 은행에 방문해 교체해야 하는데요. 반드시 1년 이내 찾아가 재발급해야 합니다. 1년이 지나면 기기 교체 비용을 또 내야 하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