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정치] 내일을 바꾸려는 사람에 의해 다시 새 역사가 작성된다. 9일 오전 6시에 시작된 제20대 대통령 선거 투표가 저녁 7시30분에 마감되고 개표는 10시간여 만인 익일 오전 6시14분께 마무리됐다.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기호1번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는 1614만7738표(득표율 47.83%), 2번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1639만4815표(48.56%)를 얻어 윤 후보가 제20대 대통령 자리를 맡게 됐다. 이어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80만3358표(2.37%), 국가혁명당 허경영 후보는 28만1481표(0.83%)를 따냈다.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당선인의 투표수와 득표율 차이는 각각 24만7077표, 0.73%포인트로 지난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역대 최소 격차다. 지역별로 윤석열 당선인은 이재명 후보에게 42만여 표 뒤졌으나 강남, 서초, 송파를 아우른 강남 3구에서 이 후보보다 2배 정도 많은 표를 구했고 충청에서는 14만여 표, 대구·경북 85만여 표, 부산·울산·경남에서는 98만여 표 더 득표해 전국 17개 권역 중 10곳에서 우세였다. 이 후보는 광주에서 70만여 표, 전북·전남에서 각각 84만 표와 9
[IE 정치] 9일 오후 투표가 끝난 현재 제20대 대통령선거의 투표율은 76.1%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사전투표율까지 포함된 수치다.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훅 7시30분까지 전국 1만4464개 투표소에서 총선거인 4419만7692명 중 3364만2329명이 투표를 끝냈다. 이는 2017년 19대 대선의 같은 시간대 투표율 67.1%보다1.0%포인트 높다. 현재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광주(81.1%)며 전남(80.7%), 경북(80.6%)가 그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제주(70.6%)였고 충남(72.9%)이 그 다음이었다.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IE 정치] 9일 오후 4시 현재 제20대 대통령선거의 투표율은 71.1%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사전투표율까지 포함된 수치다.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후 4시까지 전국 1만4464개 투표소에서 총선거인 4419만7692명 중 3142만7977명이 투표를 끝냈다. 이는 2017년 19대 대선의 같은 시간대 투표율 67.1%보다 4.0%포인트 높다. 역대 최고치인 36.93%의 투표율을 기록한 사전투표가 합산됐기 때문이다. 오후 4시 현재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77.3%)이며 광주(76.4%), 전북(76.3%)가 그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부산(66.9%)이었고 인천(68.4%)이 그 다음이었다.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IE 정치] 9일 오후 1시 현재 제20대 대통령선거의 투표율은 60.8%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사전투표율까지 포함된 수치다.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후 1시까지 전국 1만4464개 투표소에서 총선거인 4419만7692명 중 2686만5748명이 투표를 끝냈다. 이는 2017년 19대 대선의 같은 시간대 투표율 55.5%보다 5.7%포인트 높다. 역대 최고치인 36.93%의 투표율을 기록한 사전투표가 합산됐기 때문이다. 오후 1시 현재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70.7%)이며 전북(69.0%), 광주(68.2%)가 그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부산(58.2%)이었고 인천(58.4%)이 그 다음이었다.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IE 정치] 9일 오전 11시 현재 제20대 대통령선거의 투표율은 16.0%로 잠정 집계됐다.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부터 오전 11시까지 전국 1만4464개 투표소에서 총선거인 4419만7692명 중 708만1521명이 투표를 끝냈다. 이는 2017년 19대 대선의 같은 시간대 투표율 19.4%보다 3.4%포인트 낮다. 역대 최고치인 36.93%의 투표율을 기록한 사전투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오전 11시 현재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18.7%)이며 제주(17.3%), 경기(16.9%)가 그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광주(13.0%)였고 전남(13.3%) 그 다음이었다. 한편, 사전투표율은 이날 오후 1시 공개되는 투표율에서부터 합산된다.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IE 사회] 제20대 대통령 선거일 당일 현재 개학을 맞은 초·중·고등학교,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확산과 함께 여전히 급증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34만2446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521만2118명이라고 알렸다. 지난 2020년 1월20일 코로나19 관련 집계 이래 779일 만에 총 확진자 500만 명을 넘어섰고 이달 중순 내로 최대 30만 명대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예측은 실제가 됐다. 이 중 34만2388명은 국내 발생, 58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7만4222명 ▲부산 3만1152명 ▲대구 1만2899명 ▲인천 1만8823명 ▲광주 7413명 ▲대전 7977명 ▲울산 6582명 ▲세종 2214명 ▲경기 9만6681명 ▲강원 8686명 ▲충북 9145명 ▲충남 1만825명 ▲전북 9677명 ▲전남 7953명 ▲경
[IE 사회] 개학을 맞은 초·중·고등학교,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확산과 함께 여전히 급증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0만2721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486만9691명으로 닷새째 20만 명대라고 알렸다. 이 중 20만2647명은 국내 발생, 74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3만7483명 ▲부산 1만9361명 ▲대구 7586명 ▲인천 1만2603명 ▲광주 6461명 ▲대전 5609명 ▲울산 4560명 ▲세종 1349명 ▲경기 5만2729명 ▲강원 5458명 ▲충북 5733명 ▲충남 6997명 ▲전북 6260명 ▲전남 6008명 ▲경북 7368명 ▲경남 1만4028명 ▲제주 3024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0만2815명을 기록했다. 또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중국 9명 ▲아시아 41명 ▲유럽 8명 ▲아메리카 14명 ▲오세아
[IE 사회] 개학을 맞은 초·중·고등학교,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확산과 함께 여전히 급증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1만716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466만6977명으로 나흘째 20만 명대라고 알렸다. 이 중 21만628명은 국내 발생, 88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3만9557명 ▲부산 2만6456명 ▲대구 7789명 ▲인천 1만5323명 ▲광주 6465명 ▲대전 5760명 ▲울산 3913명 ▲세종 1163명 ▲경기 5만1097명 ▲강원 5451명 ▲충북 4900명 ▲충남 6774명 ▲전북 6063명 ▲전남 5734명 ▲경북 7509명 ▲경남 1만3441명 ▲제주 3233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0만5977명을 기록했다. 또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65명 ▲유럽 8명 ▲아메리카 10명 ▲아프리카 2명 ▲오세아
[IE 사회] 개학을 맞은 초·중·고등학교,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확산과 함께 여전히 급증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4만3628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445만6264명으로 사흘째 20만 명대라고 알렸다. 이 중 24만3540명은 국내 발생, 88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4만9449명 ▲부산 2만6204명 ▲대구 8896명 ▲인천 1만4854명 ▲광주 6656명 ▲대전 6189명 ▲울산 5015명 ▲세종 1384명 ▲경기 6만6833명 ▲강원 5702명 ▲충북 6230명 ▲충남 7285명 ▲전북 6840명 ▲전남 5704명 ▲경북 8191명 ▲경남 1만4417명 ▲제주 3691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3만1136명을 기록했다. 또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중국 4명 ▲아시아 65명 ▲유럽 7명 ▲아메리카 6명 ▲오세아니아 6
[IE 사회] 개학을 맞은 초·중·고등학교, 부산 동래구·금정구 요양병원, 충남 아산시와 서천군 병원 시설, 강원도 원주와 수원 팔달구 요양시설, 경북 포항시 119안전센터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확산과 함께 여전히 급증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5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5만4327명 증가해 관련 집계 이래 전일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규모로 총 누적 확진자 수가 421만2652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25만4250명은 국내 발생, 77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5만3191명 ▲부산 2만1820명 ▲대구 9563명 ▲인천 1만8838명 ▲광주 7398명 ▲대전 5693명 ▲울산 5581명 ▲세종 1458명 ▲경기 7만243명 ▲강원 5915명 ▲충북 6944명 ▲충남 8010명 ▲전북 6980명 ▲전남 5966명 ▲경북 8219명 ▲경남 1만5146명 ▲제주 3285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4만472명을 기록했다. 또 이날 기준
[IE 사회] 수원 팔달구 요양시설, 부산 금정구와 인천 남동구 요양병원, 서울 관내 초등학교 6곳 및 중학교 1곳, 경북 포항시 119안전센터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확산과 함께 여전히 급증세다. 지난 2일 최다였던 21만9241명을 훌쩍 넘어선 신규 확진자 추이는 이달 중순께 최대 30만 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예측을 현실화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4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6만6853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395만8341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26만6771명은 국내 발생, 82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5만9269명 ▲부산 2만3200명 ▲대구 9491명 ▲인천 1만6681명 ▲광주 6768명 ▲대전 5958명 ▲울산 5813명 ▲세종 1577명 ▲경기 7만6722명 ▲강원 5584명 ▲충북 6737명 ▲충남 8263명 ▲전북 6536명 ▲전남 6409명 ▲경북 8373명 ▲경남 1만5991명 ▲제주
[IE 사회] 광주 북구·광산구 소재 요양원, 전남 영암·광양 산업단지, 서울 관내 초등학교 6곳 및 중학교 1곳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확산과 함께 여전히 급증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9만8803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369만1488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19만8749명은 국내 발생, 54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4만3675명 ▲부산 1만4258명 ▲대구 8080명 ▲인천 1만5964명 ▲광주 6994명 ▲대전 5067명 ▲울산 3389명 ▲세종 1022명 ▲경기 5만1941명 ▲강원 4615명 ▲충북 4820명 ▲충남 6639명 ▲전북 5280명 ▲전남 5240명 ▲경북 6529명 ▲경남 1만1942명 ▲제주 3294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1만1580명을 기록했다. 또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중국 5명 ▲아시아 39명 ▲유럽 4명 ▲아메리카 5명 ▲아프리카 1명으로 집계됐다.
[IE 사회] 서울 강북구와 부산 동래구 요양 시설, 전남 광양시 사업장, 경북 경산시 장애인 시설, 충남 서천군 병원 시설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확산과 함께 여전히 급증세다. 천장이 모자라 지붕도 뚫을 기세인 신규 확진자 추이는 이달 중순께 최대 30만 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예측을 실제로 만들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1만9241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349만2686명이라고 알렸다. 이전 신규 확진 최대 규모였던 지난달 23일의 17만1451명을 훌쩍 넘어 4만7790명이나 많은 수치다. 이 중 21만9173명은 국내 발생, 68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4만6932명 ▲부산 1만6104명 ▲대구 7117명 ▲인천 1만2104명 ▲광주 5256명 ▲대전 5292명 ▲울산 5121명 ▲세종 1412명 ▲경기 6만8622명 ▲강원 4966명 ▲충북 5569명 ▲충남 6915명 ▲전북
[IE 사회] 부산 기장군과 대구 달성군 요양시설, 서울 중랑구 병원, 광주 광산구 요양병원, 충남 아산시 유치원, 부산 사상구 부산구치소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확산과 함께 여전히 급증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3만8993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327만3449명으로 이틀째 13만 명대다. 이 중 13만8935명은 국내 발생, 58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2만7885명 ▲부산 1만1202명 ▲대구 5382명 ▲인천 8956명 ▲광주 4802명 ▲대전 3674명 ▲울산 2944명 ▲세종 876명 ▲경기 3만9211명 ▲강원 3477명 ▲충북 3500명 ▲충남 4853명 ▲전북 3937명 ▲전남 3280명 ▲경북 4665명 ▲경남 8018명 ▲제주 2273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7만6052명을 기록했다. 또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중국 8명 ▲아시아 36명 ▲유럽 3명 ▲아메리카 6명 ▲
[IE 사회] 경북 문경시와 대전 유성구·수원 장안구 요양시설, 부산 사상구 부산구치소, 충남 서천군 병원시설, 경남 진주시 공군교육사령부, 인천 미추홀구 요양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확산과 함께 여전히 급증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8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3만9466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313만4456명으로 사흘째 16만 명대였다가 13만명대까지 떨어졌다. 이 중 13만9466명은 국내 발생, 160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2만7911명 ▲부산 1만2615명 ▲대구 5825명 ▲인천 1만0740명 ▲광주 4153명 ▲대전 3683명 ▲울산 3683명 ▲세종 834명 ▲경기 3만7258명 ▲강원 3315명 ▲충북 3046명 ▲충남 5078명 ▲전북 4066명 ▲전남 3318명 ▲경북 4935명 ▲경남 8398명 ▲제주 1806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7만5909명을 기록했다. 또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