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신규 투자자 10명 중 6명이 손실…물린 주식 대처하려면?

 

지난해부터 주식 투자 열풍에 휩싸이면서 너도나도 주식을 하기 시작했는데요. 그러나 무작정 뛰어들다 보니 손해를 입은 사람을 흔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연구원의 '코로나19 국면의 개인투자자: 투자행태와 투자성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주식 투자를 시작한 신규 투자자 중 60%가 손실을 봤다고 합니다. 특히 투자금액이 적고 나이가 젊을수록 낮은 수익률을 보였다고 하는데요.

 

이에 NH투자증권에서는 물린 주식에 대해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우선 손실 중에는 불안감으로 실수하기 쉬운데요.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행동경제학의 창시자 대니얼 카너먼은 사람을 이익의 기쁨보다 손실의 고통이 2.5배 더 크게 느낀다고 주장했습니다. 때문에 비이성적인 선택을 하는 실수를 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손실 중 잘못된 것을 알면서도 실현하는 것이 두려워 판단을 보류하거나 이익이 났어도 없어질까 하는 불안감에 성급히 매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린 주식을 더 살지, 팔아야 할지 결정하려면 명확한 기준이 필요한데요. 그 기준은 내가 이 주식을 산 이유와 목표 가격입니다. 이것을 투자 콘셉트라고 하는데, 투자 콘셉트 없이 막연하게 투자했다면 투자가 아니라 투기를 한 것과 같다는 게 NH투자증권의 설명인데요. 

 

이럴 때 투자의 대가들은 어떻게 대처했을까요. 워런 버핏의 경우는 하루하루 가격 변화에 신경 쓸 시간에 매수한 기업과 시장 변화에 집중해 처음 세웠던 투자 콘셉트가 유효한지 확인하는데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텐배 투자로 마젤란 펀드를 운용해 주식시장보다 두 배의 수익률을 냈던 피터 린치는 심사숙고해서 투자 콘셉트를 세울 것을 강조했는데요. 현명하게 선택했다면 팔 이유도 없다며 시장에 흔들리지 말라고 당부합니다.

 

지난 1992년 영국 파운드화 공격 매도로 수익을 내 유명해진 헤지펀드의 대부 조지 소로스는 투자 콘셉트에 있어 본인의 실수를 발견하고 그것을 인정하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강조했고요.

 

그렇다면 본전은커녕 하락세가 완연해 팔기도 애매한 일명 '물린 주식'으로 위기의 순간에 봉착했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우선 처음 투자 콘셉트를 기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수요 회복을 염두하고 반도체 업종에 투자했다면 예상보다 IT제품들의 판매량이 부진했는지, 아마존·구글 같은 플랫폼 업체의 설비 확충이 연기·취소됐는지 검토해 봐야 합니다. 예상보다 시기가 늦어졌지만, 여전히 투자 콘셉트가 유효하다면 하락한 오늘의 가격이 매수 기회가 되겠죠.
 
또 내가 샀던 가격은 주가와 주식시장에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 주식에 대한 투자 콘셉트가 유효한지가 중요할 뿐, 원금이 회복하면 매도하겠다는 기대는 바다에서 무전기 없이 구조를 기다리는 것과 같다네요.

 

물린 주식을 대처할 때 대안이 있어야 이성적인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가 없을 경우 물린 주식을 매도하면 손실이 확정돼 이성적인 판단을 방해하기 때문인데요. 만약 새로운 유망한 투자 콘셉트가 있다면 물린 주식의 투자 콘셉트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손실을 확정하더라도 다른 투자 기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이성적인 판단이 가능한데요. 대안이 없다면 이성적인 판단이 쉽지 않습니다.

 

만약 투자 콘셉트 없이 투자를 하고 싶다면? 주식시장 전체를 사는 것을 추천하는데요. S&P500, KOSPI와 같은 주가지수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물론 주가지수도 오르내리지만, 장기로 투자한다면 생각보다 손실 확률이 낮습니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