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 은행 악재에…은행권,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릴레이

 

[IE 금융] 최근 국내 금융지주와 은행들이 실리콘밸리은행(SVB) 및 크레딧스위스(CS)와 같은 해외 악재와 관련해 선제 대응 차원에서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조기상환청구권)을 행사하고 있다. 


2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는 다음 달 콜옵션 만기인 1350억 원의 원화신종자본증권의 콜(조기 상환)을 행사할 예정이다.

 

신한금융지주가 콜옵션 행사를 미리 발표한 이유는 CS의 신종자본증권 상각 이후 도이치뱅크 CDS(Credit Default Swap)프리미엄이 급등하는 것을 포함한 글로벌 은행 시스템에 대한 우려 확산에 따른 선제적 조치다.

 

CDS프리미엄은 부도 또는 파산에 따른 손실을 다른 투자자가 대신 보상해주는 신용파생상품의 수수료로 특정 위험을 보장하기 위한 보험료라고 생각하면 된다.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면 보험료가 비싸지듯 CDS프리미엄 상승은 채권을 발행한 기관이나 국가의 신용위험도가 그만큼 높아졌다는 뜻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지난 1월 400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을 선제적으로 발행해 추가 조달없이 중도상환 여력이 있는 상황"이라며 "신한금융은 안정적인 자본비율 및 선제적 유동성 관리를 통해 그동안 콜옵션을 모두 행사했고 앞으로도 일관되게 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2013년 4월 발행한 5000억 원대의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을 다음 달 중 행사하기로 했다. 또 오는 7월 4000억 원, 11월 2000억 원 등 대규모 신종자본증권 만기에 맞춰 콜옵션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은 2000억 원대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을 행사했으며 오는 10월 만기가 돌아오는 하나은행 1800억 원, 11월 하나금융의 2960억 원대 콜옵션도 예정대로 행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금융권에서 이례적으로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행사 방침을 공개한 것은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불안감 확산으로 국내에 미칠 악영향을 미리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흔히 코코본드로 불리는 신종자본증권은 일반적으로 만기가 없거나 30년 이상의 긴 하이브리드 채권이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산정 시 자본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주로 금융사의 자본확충 수단으로 쓰인다.

 

또 신종자본증권은 이를 발행한 금융사가 부실화될 경우 투자자 동의 없이 상각 또는 보통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실제로 스위스 금융당국은 CS를 매각하면서 170억 달러의 조건부자본증권 전액 상각을 결정해 전 세계 금융시스템의 불안감을 확산시키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CS 사태에 대한 국내 금융지주들의 관련 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NH투자증권 정준섭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CS 사태로 신종자본증권 발행 우려가 확대됐다"며 "콜 시점이 도래해도 차환 발행은 어려운 만큼 이전보다 자본비율 관리 부담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국내 금융지주의 리스크는 제한적으로 바라봤다. 정 연구원은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어려워도 국내 은행계 금융지주의 기본자본(Tier1) 비율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부연했다.

 

그는 "8개 은행계 금융지주의 지난해 말 기본자본 비율은 5대 금융지주가 13.6~14.9%, 지방 3사가 12.6~12.8%로 당국이 요구하는 수준을 여유 있게 충족하고 있다"면서 "올해와 내년에 차환 없이 조기상환을 한다고 가정하더라도 8개 사 모두 기본자본 비율이 요구 수준을 웃돈다"고 진단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