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늘어나는 기대수명, 줄어드는 노후자산…" 은퇴소득 확보전략은?

미래에셋연구소 '은퇴리포트40호' 발간…"자산 조기고갈 위험 대비해야"
고령 전·후기 자산운용 구분 통해 적합한 노후자산 운용 필요

[IE 금융] 의학기술 발전으로 평균 기대수명이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노후자산 고갈에 대한 예비 은퇴자 또는 은퇴자들의 심리적인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노후자산은 한정적인 데 비해 나이가 들수록 신체, 인지적 건강이 악화되면서 자산관리 능력이 저하될 확률이 높기 때문. 

 

통계청에 따르면 2005년 기준 60세 인구가 85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47.9%였으나 2017년 기준 60세가 85까지 살 확률은 63.6%까지 올라갔다.  

 

이에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심현정 선임연구원은 17일 '은퇴리포트40호'를 통해 "장수로 인해 고령기의 삶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며 "고령 후기에 변화될 생활 패턴과 니즈에 맞는 적절한 은퇴소득 확보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자산 조기고갈의 위험에 대비하는 동시에 한정된 자산으로부터 은퇴소득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산운용·인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 선임연구원이 제안한 운용전략 중 하나는 '고령 전·후기 자산운용 구분'이다. 은퇴를 꿈꾸는 사람들은 만 75세를 기준으로 그 이전은 전기 고령자, 이후는 후기 고령자라고 구분한 뒤 각 기간에 적합한 노후자산 운용 및 인출 방식을 취해야 한다. 

 

후기 은퇴자보다 건강하고 활동적인 고령 전기 은퇴자들은 여유자금의 필요성이 크기 때문에 금융자산을 적극 운용할 필요가 있다. 또 의료비, 간병비와 같은 고령 후기에 지출이 집중되거나 특정 시점에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용은 이때부터 계획을 세워 재원을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고령 후기에는 추가적인 소득활동이 쉽지 않고 자산운용이 어려워지는 반면, 생활비와 의료비를 충당할 고정 소득이 급상승한다. 따라서 자동으로 자산이 운용되고 정기 소득이 발생되는 자산 구조가 필요하다. 

 

심 연구원이 내민 또 하나의 방법은 '종신형 연금 수령 늦추기'다. 국민연금, 주택연금, 연금보험 등 종신형 연금은 노후자산의 수명을 수급자의 사망 시점으로 동일시킬 수 있어 죽기 전에 자산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실한 방법이다. 

 

이 리포트에 따르면 노후자산을 '탑형' 배치에서 '시간차' 배치 모델을 구축하는 것도 은퇴자를 위한 길이다. 시간차 배치는 노후 소득원의 인출 시점을 달리하는 것을 뜻한다. 은퇴 초반에 금융자산을 배치해 적극 운용, 인출하고 후반에 종신형 연금을 배치해 수령시기를 늦춘 다음 매월 받는 연금액을 늘리는 것이 이 모델의 골자다. 

 

심 선임연구원은 "은퇴자들은 노후자산 운용 시 수익률 변동뿐 아니라 장수로 인한 위험까지 고려하는 '확장된 위험 프레임'을 가져야 한다"며 "특히 고령 후기에 건강 악화로 자산을 운용하지 못하게 되거나 사기 피해를 입어 자산에 손실을 입지 않도록 자산 관리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