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광화문에 걸린 한강 작가 초상화…교보문고 '노벨상 수상자 초상화 전시공간' 재단장

"사통팔달 대한민국 제일의 목에 청소년을 위한 멍석을 깔아줍시다. 와서 사람과 만나고, 책과 만나고, 지혜와 만나고, 희망과 만나게 합시다. 책을 읽은 청소년이 작가나 대학교수, 사업가, 대통령이 되고 노벨상도 탄다면 그 이상 나라를 위하는 일이 어디 있겠습니까."

 

지난 1980년 교보생명 신용호 창립자가 교보문고 설립 당시 돈이 안 된다는 주변 반대에 반박하며 주장했던 말.


[IE 문화] 대산문화재단과 교보문고가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위치한 '노벨상 수상자 초상화 전시공간'에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의 초상화를 걸었다.

 

10일 대산문화재단에 따르면 노벨상 수상자 초상화 전시공간은 광화문점과 세종로 지하보도를 잇는 출입구 통로에 마련된 상설 전시공간이다. 이는 청소년 및 젊은이들이 초상화를 보며 세계적인 석학으로 성장하기를 바라는 대산(大山) 신용호 교보생명 창립자의 아이디어에 지난 1992년 처음 마련됐다. 이후 지난 2014년 현재 위치로 옮였으며 이번에 새단장한 것.

 

이 공간은 알베르 카뮈,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김대중 등 노벨문학상·물리학상·평화상 등 각 부문 수상자들의 초상화와 함께 미래의 노벨상 수상자를 위한 빈 초상화 공간을 함께 걸어 '당신이 이 자리의 주인공입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번 전시공간의 재단장은 아시아 여성작가로서 최초이자 한국의 첫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국내 문학의 위상을 높인 한강 작가를 계기로 약 10년 만에 진행됐다.

 

한강 작가는 교보생명과 특별한 인연이 있다. 교보생명이 출연한 대산문화재단은 오랫동안 한국 문학의 번역 및 해외 출간을 지원했는데,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 영역 출판을 지원해 2016년 부커상을 받는 데 기여했다. 또 한강 작가는 지난 2013년부터 4년 동안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외벽에 내걸리는 광화문글판의 문안선정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이날 전시공간 오픈과 함께 한강 작가의 초상화도 최초 공개됐다. 초상화는 전통 회화에 다양한 기법으로 액션을 담아내는 박영근 화가(성신여대 서양화과 교수)의 작품이다. 

 

전시공간은 우드톤 인테리어에 다크 그린 컬러로 포인트를 주어 124년의 긴 역사를 자랑하는 노벨상의 헤리지티를 표현했다. 또 '책을 열면 당신의 이름도 역사가 된다'라는 문구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더했다.

 

/이슈에디코 김지윤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자 작가의 책을 읽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지난 10월 온라인 서점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18% 증가.

 

이와 관련해 '글을 읽는 모습이 멋지다'는 의미의 '텍스트 힙(text hip)'나 기분이 좋을 때 뇌에서 분비되는 신경 물질 도파민과 독서를 합친 '독(讀)파민'이란 신조어도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