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륙 후 열대저압부로 약화한 제14호 태풍 '풀라산'이 한반도를 향해 방향을 돌린 후 사흘간 폭우를 쏟아 이곳저곳 상흔을 남겼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국민 안전관리 일일상황과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을 참고하면 지난 20일 자정부터 21일 오후 10시까지 경남지역에 평균 287㎜의 폭우가 내렸는데요. 창원시가 529㎜에 달했고 다음은 김해시 426.7㎜, 고성군 417㎜, 사천시 403.3㎜ 순이었습니다. 특히 21일 경남 창원은 397.7㎜의 폭우로 1985년 관측 이래 일 최다강수량을 넘어섰고 김해(368.7㎜), 거제(348.2㎜), 양산(336.0㎜)도 좋지 않은 신기록이 나왔죠. 강원도 정선군은 시간당 최다강수량 29.7㎜로 9월 1시간 최다강수량 극값 1위를 찍었습니다. 오늘 오전 6시 기준, 호우·강풍·풍랑 탓에 7개 시도 46개 시군구에서 약 1000세대 1500명 넘는 인원이 대피했는데 경남이 260세대 374명으로 최다였고 경북 130세대 196명, 부산 24세대 50명, 전남 31세대 47명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주택 및 도로침수, 토사 유출, 땅꺼짐 현상과 옹벽 붕괴에 따른 피해도 있었고요. 올해 한반도 더위를 가시게
[IE 사회] 장기간 이어지는 무더위 영향에 에어컨 가동이 늘면서 추석 연휴 전력 수요가 전년보다 약 30%가량 증가했다. 20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6~18일 최대 전력수요는 평균 70.3GW(기가와트)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추석 기간인 9월28~30일 기록한 54.4GW보다 29.2% 높다. 추석 연휴가 끝난 직후인 19일에도 전력 수요는 평년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전력 수요는 88.2GW였다. 그러나 이번 주말에는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면서 무더위가 차츰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력거래소는 무더위가 해소되더라도 다음 달 중순까지는 전력 수요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예측했다. 전력거래소 측은 "10월 중순까지 평년보다 기온이 높을 확률이 크기 때문에 냉방 수요로 인해 전력 수요가 예년 대비 다소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9월 중순이 지나도록 폭염과 열대야가 지속. 지난 18일 전국 기준 폭염은 5.5일(서울 6일), 열대야는 3.7일(서울 8일) 동안 이어짐.
기상청에 따르면 오늘 낮 12시47분께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소재 서격렬비도 남서쪽 142km 해역에서 규모 2.7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지진의 기점을 의미하는 진원(震源) 바로 위에 있는 지점인 진앙(震央)은 북위 35.68도, 동경 124.46도라고 하네요. 앞서 이달 11일 오전 2시24분경에도 이 섬 북쪽 56㎞ 해역에서 같은 규모의 지진이 있었죠. 진앙은 북위 37.11도, 동경 125.45도였고 당시에도 기상청은 지진에 따른 피해는 없을 거라 설명했었습니다. '앎?' 이번 편에서는 오늘 지진이 일어난 섬에 대한 정보를 전하고자 합니다. 서격렬비도는 충청남도 최서단 격렬비열도 3개 섬 중 하나인데요. 세 마리 새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날아가는 모습과 유사해 '격렬비(格列飛)'라는 명칭으로 부르게 됐습니다. 열도(列島)는 바다 위에 길게 줄을 지은 모양으로 늘어서 있는 여러 개의 섬을 뜻하고요. 태안 안흥항에서 55km 정도 떨어진 '서해의 독도' 격렬비열도는 서격렬비도 외에 북격렬비도, 동격렬비도와 9개 부속도서로 이뤄졌으며 우리나라 영해 범위를 결정하는 영해기점 23개 도서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괭이갈매기의 산란지인 동격렬비도, 서격
추석 연휴 갑작스럽게 아파 진통제나 소화제, 감기약을 사려고 해도 평소보다 열린 약국이 없어 곤란에 처한 사람들이 많은데요. 다행히도 24시간 열린 편의점에 안전상비의약품이 있어 급한 통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15일 GS25에 따르면 1만4000개 점의 올해 설 연휴(2월9~12일) 매출을 보면 직전 주 동 기간 대비 안전상비의약품 판매량이 71.5% 급증했는데요.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 측은 "올해 특히 안전상비의약품의 점포별 보유 물량을 3~5배로 늘렸다"며 "의대 정원 문제로 의료 공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편의점의 긴급 구매처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2012년 5월 정부는 약국이 문을 닫는 공휴일과 야간에 의약품을 구매해야 하는 국민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약사법을 개정했는데요. 약사법에는 20개 품목까지 지정할 수 있지만, 아직 ▲해열·진통·소염제(7품목) ▲건위소화제(4품목) ▲진통·진양·수렴제(2품목) 등 13품목만 판매하고 있습니다. 추석 연휴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 소화가 안 될 때 편의점에서 소화제를 많이들 찾는데요. GS25 집계를 보면 지난 설 연휴 마지막 날 소화제 판매량이 전주 동 기간보다 무려
[IE 금융]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시행이 약 한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국내 의료기관들의 참여율은 3.7%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금융위원회(금융위)는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보건복지부, 전자의무기록(EMR) 업체, 보험업계, 보험개발원 등과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관련 간담회를 개최했다. 권 사무처장은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정부와 의료계, 보험업계가 이견을 적극 조율하며 사업을 진행해 왔다"며 "하지만 국민이 체감하기에는 아직 아쉬운 점이 있으며 확산 노력을 더 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다음 달 25일부터 7725개 요양기관(병상 30개 이상 병원 4235개, 보건소 3490개)을 대상으로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가 시행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참여를 확정한 요양기관은 총 3774개(48.9%)다. 이 가운데 283개 병원(3.7%)이 다음 달 25일부터 즉시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를 진행한다. 나머지 의료기관은 자체시스템 개편 일정과 동일 시스템 집중 문제를 고려해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권 사무처장은 "금융당국, 보험업계와 EMR업체가 적정 비용수준을 논의한 결과 일정 부분 진전을 이뤘다"면서 "
[IE 금융]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9조8000억 원 증가하며 지난 2021년 7월 이후 최대치를 나타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매매가 늘며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폭증했기 때문. 11일 금융위원회(금융위)가 발표한 '2024년 8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130조 원으로 전달보다 9조8000억 원 늘었다. 이는 5개월 연속 증가세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대출금리 인상의 여파로 지난해 3월(-7109억 원)까지 감소했지만, 같은 해 4월(2조3000억 원)부터 상승 전환했다. 그러다 올해 3월 1조7000억 원 줄면서 1년 만에 다시 줄었지만 ▲4월(5조 원) ▲5월(6조 원) ▲6월(5조9000억 원) ▲7월(5조5000억 원) 등 계속 증가 폭이 뛰고 있다. 지난달 주담대는 8조2000억 원 늘면서 890조6000억 원을 기록,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담대는 주택매매 증가와 대출금리 하락, 정책대출 공급 등으로 4월부터 매달 약 4조 원씩 상승하고 있다. 전세자금대출은 7000억 원으로 지난달 5000억 원보다 뛰었다. 이와 관련해 전날 열린 가계부채 관련 간담회에서 금감원 이복현 원장은 "은행권이 여신심
[IE 금융] 케이뱅크가 상장 첫 관문인 예비심사를 통과하면서 연내 주식시장 입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기업공개(IPO) 성공 시 케이뱅크 시가총액은 5조 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10일 금융감독원(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4100만 주의 신주를 유상증자를 한다고 전날 공시했다. 이번 증자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해 이뤄졌다는 게 이 은행의 설명이다. 이 외에도 케이뱅크는 지난달 30일 한국거래소에서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승인받았다. 업계에서는 케이뱅크가 이르면 다음 주 금융위원회(금융위)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케이뱅크가 예비심사를 통과한 만큼 연내 상장에 속도가 붙었다. 이 은행은 지난 1월 열린 케이뱅크 이사회에서 IPO 추진 안건을 의결하고 연내 상장 완료를 목표로 삼았다. 앞서 케이뱅크는 IPO 시 신주 발행과 구주매출 비율을 5대5로 설정할 것이라고 알린 바 있다. 공모희망가는 9500~1만2000원인 만큼 공모 규모는 최대 9840억 원으로 예상된다. 여기 더해 이번에 발행한 신주를 포함한 케이뱅크 총 발행주식 수는 4억1696만5151주로 공모 희망가 상단을 적용할 시 시가총액은 5조 원이 넘을
우리나라 전 지역 곳곳을 살피며 큰 비용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행사와 축제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나들이 가GO이슈]의 9월 둘째 주 정보입니다. ◇수도권 -안성맞춤포도축제 ·기간 : 13~15일 브랜드 가치 향상 및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안성 포도 농가와 함께 축제 기간에 포도 판매. 포도 품평회, 포도와인 만들기, 지역 농산물 판매, 노래자랑 등의 행사 마련. ·관련 사이트 : https://korean.visitkorea.or.kr/kfes/detail/fstvlDetail.do?fstvlCntntsId=68c11dc3-fcbb-47d8-a2a6-df31b271542a&cntntsNm=%EC%95%88%EC%84%B1%EB%A7%9E%EC%B6%A4%ED%8F%AC%EB%8F%84%EC%B6%95%EC%A0%9C -자라섬 꽃 페스타 ·기간 : 9월14일~10월13일 ·시간 :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번 행사 주제는 '북한강에 띄운 꽃, 피어나는 힐링과 행복'으로 봄, 가을 테마별 꽃 정원 조성. 공연·전시·체험 프로그램과 지역 농특산물 판매부스, 반려동물 놀이터 등 운영. ·관련 사이트 : https://www.gptour.go.kr/
[IE 문화] KT&G가 오는 10일까지 KT&G 상상마당 홍대 시네마에서 '제16회 대단한 단편영화제'를 개최한다. 6일 KT&G에 따르면 이번 영화제에는 지난 6월 공개모집을 통해 접수된 총 766편의 단편영화 가운데 3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본선 진출작 25편이 상영된다. 아울러 전년 수상작 5편, 심사위원 참여작 6편, 대학생 성장지원 플랫폼인 'KT&G 상상유니브' 학생들이 영화감독과 함께 만든 단편영화 3편 등 총 49편의 작품을 볼 수 있다. 10일 폐막식에서는 관객 평가와 전문위원들의 심사를 통해 선정된 최종 7개 작품에 대한 시상이 있다. 수상자들에게는 총 1700만 원의 상금과 트로피가 수여된다. 또 우수한 단편 시나리오 발굴을 위해 올해 신설된 '대단한 제작지원 프로젝트' 시상도 함께 진행된다. 최종 선정된 시나리오 감독에게는 제작지원금 1000만 원이 지원된다. 한편, 제16회 대단한 단편영화제의 본선 심사위원으로 엄태화 감독, 이충현 감독, 전소니 배우, 주종혁 배우가 선정됐다. 현재 영화 산업 내 활발하게 활동 중이면서 동시에 단편영화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감독 2인, 배우 2인으로 구성했다는 게
우리나라 전 지역 곳곳을 살피며 큰 비용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행사와 축제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나들이 가GO이슈]의 9월 첫째 주 정보입니다. ◇수도권 -포천 한탄강 가든페스타 ·기간 : 9월7일~10월13일 ·시간 :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26만4000㎡에 이르는 공원형 정원 '한탄강 생태경관단지'에서 힐링과 여유로움을 즐기는 이 행사는 억새 미로정원, 가을 꽃 정원, 전기자전거 체험, 반려견 놀이터, 버스킹 공연, 포토존 등 다양한 즐길거리 마련. ·관련 사이트 : http://www.geoparkcenter.kr/bbs/board.php?bo_table=gr03_03&wr_id=54 -여민락 문화교류축제 통:로 ·기간 : 7~8일 전통문화예술 전승과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전통을 기반 삼아 다양한 음악, 복식, 미술 공연과 플리마켓, 체험 부스 등을 시민들과 함께 나누며 새로운 경험의 기회 선사. ·관련 사이트 : https://www.ktaia.or.kr/child/sub/news/participate?ptype=view&_idx=668a014062eae73 -서울국제작가축제 ·기간 : 6~11일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이 서
지난 2012년, 여름으로 접어들기 전 지인들과 전라남도 여수시를 찾았습니다. 그땐 3인조 밴드 버스커 버스커의 '여수 밤바다'를 전혀 모르던 때였죠. 여수항, 향일암, 돌산대교 그리고 여순사건 외엔 전혀 아는 바가 없던 지역을 생전 처음 찾은 만큼 이곳 명물을 접하고픈 생각뿐이었고요. 1949년 오늘은 당시 이승만 정권에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금지곡을 지정한 날입니다. 이 노래의 제목은 여수야화(麗水夜話). 무너진 여수항에 우는 물새야 우리 집 선돌 아범 어데로 갔나요 창 없는 빈집 속에 달빛이 새여들면 철없는 새끼들은 웃고만 있네 / 가슴을 파고드는 저녁 바람아 북청 간 딸 소식을 전해 주려무나 에미는 이 모양이 되었다만은 우리 딸 살림살인 허벅지더냐 / 왜놈이 물러갈 땐 조용하더니 오늘엔 식구끼리 싸움은 왜 하나요 의견이 안 맞으면 따지고 살지 우리집 태운 사람 얼굴 좀 보자 '목포의 눈물'을 부른 유명 가수 이난영의 오빠 이봉룡 작사, 김초향 작곡, 당시 최고의 가수 남인수가 부른 이 대중가요는 여순사건으로 파괴된 한 가족의 비극을 들려줍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은 이 노래가 반정부적이라 자신이 판단한 사회적 통
"꼭 금융사가 통합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놔야 하나요? 한곳에 몰아넣으면 앱 자체가 복잡하고 느려질 텐데요." 몇 년 전 한창 금융권에서 '원(One)앱, 슈퍼(Super)앱'이 뜨거운 감자였던 때가 있었는데요. 그럴 때마다 자주 입방아에 올랐던 금융사가 있습니다. 바로 KB금융지주인데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KB국민은행 앱 근황'이라는 유머 게시글이 종종 올라올 정도로 당시 KB국민은행 관련 앱이 매우 많았기 때문입니다. 'KB국민은행 스타뱅킹' 'KB스타알림' 'KB Pay' 'KB부동산' KB굿잡' '리브' '리브똑똑' 등 셀 수 없이 많은 앱을 내놓다 보니, 소비자는 물론 일부 내부 직원들까지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죠. 그럼에도 KB금융지주는 이슈에디코의 취재 당시 서두와 같은 멘트를 언급하며 앱 통합을 시도하려는 타 은행과 노선을 달리할 것을 확언했습니다. 사실 이때는 KB 외에도 여러 금융사들이 통합 앱을 운영하지 않았는데요. 금융 업무의 기본인 조회, 송금, 저축 외에도 각종 대출, 펀드나 보험 가입 등 여러 업무 처리를 한 앱에 탑재할 경우 구동 속도나 앱 용량을 감당하기 힘들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또 목적에 따라
[IE 사회] 최근 대학생뿐만 아니라 중·고교생, 군인 등 텔레그램에서 단체 대화방을 만들어 여성 지인 얼굴에 음란물을 합성한 '딥페이크(deepfake·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인간 이미지 합성기술)' 영상을 유포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사회에 큰 파장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는 긴급회의를 열고 대책을 마련. 27일 방심위는 실·국장 회의, 28일 전체회의를 연달아 개최할 예정이다. 윤석열 대통령도 이날 국무회의 전체발언을 통해 이런 디지털 성범죄를 뿌리 뽑아야 한다며 관계 당국에 방안 강구를 지시했다. ◇"지인 능욕해 드립니다" 학생·군인 텔레그램 딥페이크 대화방 '발칵' 앞서 서울대와 인하대와 같은 대학교는 물론, 중·고등학교, 군대 등 전국 지역·학교·직군별로 세분된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이 발견됐다. 대화방마다 수천 명이 있었으며 이들은 아는 여성의 정보와 사진을 공유해 딥페이크 영상물을 제작·유포했다. 실제 지난 7월 말까지 올해 텔레그램을 통해 딥페이크 음란물을 제작한 뒤 유포한 10대 청소년 10명이 입건됐다. 또 인천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지난 3월 인하대학교 재학생으로 딥페이크를 만들고 퍼뜨린 텔레그램 참가자 1명
우리나라 전 지역 곳곳을 살피며 큰 비용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행사와 축제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나들이 가GO이슈]의 8월 다섯째 주 정보입니다. ◇수도권 -제로플 페스타 ·기간 : 8월31일~9월29일 제로웨이스트 라이프스타일에 즐거움을 더하는 이 축제 중 ZERO+ 뚝섬나눔장터는 일반 시민 140팀, 수공예 20팀, 어린이 20팀으로 구성된 중고나눔장터. 시민들의 온라인 신청 및 현장접수로 구성했으며 이외 여러 체험프로그램과 버스킹 공연 준비. ·관련 사이트 : https://zeroplus.or.kr/ -DDP 디자인&아트 ·기간 : 8월29일~9월8일 ·시간 :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국내외 거장들의 글로벌 디자인&아트 전시회로 토크 및 도슨트 해설로 만날 수 있는 'DDP 아트 토크&투어' 프로그램도 마련. 또 '서울라이트 DDP 2024 가을' 전시들을 함께 감상. ·관련 사이트 : https://ddp.or.kr/index.html?menuno=239&siteno=2&bbsno=642&boardno=16&bbstopno=642&act=view&subno=2 -서울라이트
우리나라 전 지역 곳곳을 살피며 큰 비용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행사와 축제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나들이 가GO이슈]의 8월 넷째 주 정보입니다. ◇수도권 -거북섬 해양축제 ·기간 : 23~25일 시화호에서 즐기는 해양레저체험, 가족이 함께 하는 화채 만들기, 물총놀이, 다양한 여름 테마의 수공예품 만들기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 마련. ·관련 사이트 : https://sstfestival.modoo.at/ -고양 푸드앤비어페스티벌 ·기간 : 24일~9월1일 시민, 지역상권과 함께 즐기는 고양시 종합 축제로 고양시민들에게 위로와 힐링의 시간을 마련하는 주민중심형, 지역상권연계형 행사. 안전한 축제를 기반 삼아 지역 상생, 주민 참여, 관광형 축제플랫폼으로 브랜드 구축. ·관련 사이트 : http://www.goyangtca.or.kr/contents/main/ -BEE PLACE '꿀벌의 Bee행 - 꿀벌아 돌아와!' ·기간 : 19~20일 ·시간 :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꿀벌 살리기 운동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청역 서울광장에서 펼쳐지는 행사로 미니 포레스트존, 꿀 보이스 공연, 대형인형 포토존, 꿀 요리 푸드 코트 등 준비. -서울 버스커 페스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