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의대생 전원 복귀로 의료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점증하고 있습니다. 이어 사흘 후인 15일 교육부는 복귀 의대생들을 위한 교육 방안 마련을 언급하며 기존 강경했던 입장에서 어느 정도 완화된 태도를 보였죠.
정부의 의대 모집인원 동결 결정에도 의대생들은 미복귀로 버텼고 전국 40개 의대의 8305명 무더기 유급, 46명 제적 처분이 임박했었습니다. 결국 의대생 단체는 이달 12일 복귀 의사를 전하면서 "학사 유연화 등의 특혜와는 다른 입장으로, 압축·날림 없이 제대로 교육받겠다"고 제언했고요.
그러나 학년제인 의대 특성상 1학기 유급 학생들은 한 학기를 쉬고 내년 1학기 수업부터 들어야 하는 만큼 학칙 개정 등의 조율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이런 이유로 일부 타 단과대 학생들은 형평성을 따지며 분노를 터뜨리는 상황이고요. 온라인상 반응을 봐도 이들의 심정에 공감하는 의견이 대다수네요.
'원칙을 지킬 것이냐' '기본에서 벗어날 것이냐' 교육당국을 비롯한 모든 이해당사자와 이해관계자들이 눈치를 보며 골머리를 앓을 수밖에 없는 문제입니다.
분야는 다르지만 이처럼 원칙의 모호함을 생각해야 하는 말들이 있습니다. 바로 어감이 다소 거칠거나 속된 느낌을 주지만 사실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엄연히 등재된 표준어들이죠.
비슷한 의미의 비표준어들이 많아 혼동하기 쉽고 구어적인 느낌이 강해 예의를 갖춰야 하는 자리에서는 사용이 꺼려지는 딱한(?) 표준어들입니다. 우리가 흔히 오해하는 흥미로운 단어들을 함께 살펴볼까요?
☞ 이래 봬도 표준어! 속되지만 공인된 단어들
꼽사리 : 남이 노는 판에 거저 끼어드는 일.
※ 일부 표현은 비속어에 가까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