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LG전자가 미술 작품을 비롯한 다채로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LG 갤러리 플러스(LG Gallery+)' 서비스를 출시, 독자 스마트TV 플랫폼 webOS의 서비스 강화에 집중.
25일 LG전자에 따르면 LG 갤러리 플러스는 LG TV를 디지털 액자로 활용, 내가 좋아하는 콘텐츠를 감상하고 나만의 공간 인테리어를 완성할 수 있는 서비스로 명화, 게임 일러스트 등 4000개 이상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 영국 내셔널 갤러리 런던(The National Gallery London),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을 포함해 글로벌 주요 미술관에 전시된 작품의 감동을 TV를 느낄 수 있음.
특히 서비스 기획 단계부터 고객 목소리를 반영해 클래식한 미술 작품 외에도 게임과 영화처럼 다양한 이미지까지 선사. LG전자는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고객 심층 인터뷰를 통해 명화뿐 아니라 게임 일러스트나 영화 포스터·좋아하는 캐릭터 등을 TV에서 감상하고 싶다는 고객의 니즈를 확인해 유럽 최대 게임사 유비소프트(Ubisoft)와도 협업.
이를 통해 게임 '어쌔신 크리드' 속 광활한 풍경과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액션 장면을 TV 화면에 장식 가능하며 인공지능(AI)으로 상상 속 이미지를 구현해 꾸밀 수 있다는 게 LG전자의 설명.
또 LG전자는 고객 취향에 맞춰 운영되는 큐레이션과 작품과 어울리는 음악을 골라 함께 감상할 수 있는 BGM 기능도 추가. 기기를 켜놓고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아예 껐을 때도 원하는 콘텐츠로 스크린세이버와 AOD(Always On Display)를 설정 가능.
LG 갤러리 플러스는 최근 한국, 미국, 영국, 유럽연합(EU) 20개국 등 23개 국가에 출시됐으며 지난 2023년 이후 출시된 UHD 이상 TV와 2022년 출시된 OLED·8K TV 모델·소프트웨어 버전에 따라 서비스를 차례대로 개시. LG webOS의 자체 결제 시스템 webOS 페이(webOS Pay)를 통해 정기 구독할 수 있으며 webOS 페이 홈페이지에서 결제 수단을 등록 시 TV 리모콘으로 쉽게 결제됨.
아직 LG 갤러리 플러스를 정식 출시하지 않은 150여 개 국가에서도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약 100개의 무료 콘텐츠를 공개.
이 외에도 LG전자는 webOS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영상뿐 아니라 아트, 게임으로 콘텐츠 저변 확대 중. 올 초에는 엑스박스(Xbox)와 파트너십을 맺고 webOS에 '엑스박스 게임 패스(Xbox Game Pass)' 서비스를 추가.
한편, LG webOS는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 선정 '2025 CES 혁신상' 사이버보안 부문과 영국 IT전문매체 AV포럼(AVForums)의 '베스트 스마트 시스템상' 등을 수상.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현재 LG 갤러리 플러스에서 고객이 가장 많이 콘텐츠 중 하나는 반 고흐의 '사이프러스가 있는 밀밭'.
이 작품은 1889년 고흐가 프랑스 생레미 요양원에 자발적으로 머물던 시기에 그린 풍경화며 그의 내면과 자연에 대한 깊은 감정을 표현. 고흐는 사이프러스는 이집트의 오벨리스처럼 아름다운 라인과 비례를 가진 나무라고 생각함. 이 나무는 지중해 지역에서 하늘과 땅을 잇는 상징으로 무덤 주변에 주로 식재됨.
이는 영국 내셔널 갤러리 런던의 소장품으로 집을 갤러리처럼 꾸미고픈 고객에게 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