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K콘텐츠 금융 상품화" NH농협은행, 스테이블코인-STO 융합모델 검증 MOU

 

[IE 금융] NH농협은행이 아톤·뮤직카우와 스테이블코인 및 STO(토큰증권) 연계 융합 사업모델 검증을 위해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

 

26일 NH농협은행에 따르면 이번 협약은 국내 디지털자산 법제화가 빨라지는 상황에서 K-컨텐츠 실물자산 기반 STO와 결제·정산용 스테이블코인을 결합, 자산 유동성 확대와 투명한 거래 인프라를 검증하기 위해 취지에서 추진.

 

NH농협은행은 한국은행(한은) 디지털화폐 프로젝트 '한강'에 참여한 아톤과 기술 협력을 시행. 또 글로벌 음악저작권 투자플랫폼 뮤직카우는 자산유동화를 맡아 검증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일 예정.

 

이번 프로젝트는 해외 K팝 팬들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해 K팝 저작권 STO를 구매하는 시나리오로 구성. 시나리오대로라면 개인 및 법인 고객은 환율 리스크 없이 실시간 결제·정산할 수 있는 글로벌 결제시스템을 경험.

 

NH농협은행은 이를 통해 원화 스테이블코인 수요처를 창출함과 동시에 K-컨텐츠의 금융 상품화 및 저변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중.

 

한편, 이 은행은 지난해 12월 조각투자사업자의 토큰증권 발행을 지원하는 메인넷을 구축, 조각투자 API를 통해 조각투자사업자의 투자자금 보호를 지원하며 STO 분야에서 적극적인 행보를 보임. 또 지난 4월에는 오픈블록체인·DID협회(OBDIA)내 13개 주요 시중은행이 참여하는 스테이블코인 분과를 상설 조직으로 신설해 제도화 가능성과 은행 비즈니스 적용 방안을 검토.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와 같은 실물자산과 가치가 연동되는 암호화폐. 일례로 달려 연동 스테이블코인 1개=1달러로 값이 고정됐기에 등락이 거의 없어 안정성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는 스테이블코인 99%는 달러와 연동됐으며 미국 국채를 담보로 하는 중. 이런 특징 때문에 금융 거래, 송금, 결제 등에서 신뢰할 수 있는 교환 매체로 활용.

 

최초 스테이블코인은 지난 2014년 미국에서 출시된 테더(USDT). 테더는 달러와 1대 1로 연동되는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이며 암호화폐시장에서 최초로 실질적인 가격 안정성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중.

 

그러나 국제결제은행(BIS)은 이달 말 발간한 연례보고서에서 스테이블코인을 화폐가 아닌, 금융자산에 가까운 디지털 소지증으로 정의. 특히 스테이블코인 거래가 활발해질수록 신흥국 통화 주권은 약화, 금융시장의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

 

더불어 자국 통화 신뢰도가 낮은 신흥국 안에서 달러 스테이블코인 사용이 늘면 자국 통화 주권의 훼손과 대량 매도에 따른 패닉셀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

 

이와 달리 우호적인 시선을 보이는 곳도 대다수.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오픈리서치'는 지난 3월 '원화 스테이블코인 필요성과 법제화 제안' 보고서를 통해 "미래 경제를 뒷받침할 새로운 화폐가 필요하며, 스테이블코인이 해답"이라고 제언.

 

일본 중앙은행(BOJ)의 경우 민간 스테이블코인이 엔화의 사용성을 높이고 디지털 화폐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다며 높이 평가.

 

우리나라에서는 국정기획위원회는 지난 6월 한은 업무보고 자리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시대의 요구이자 흐름"이라며 "한은은 전향적으로 해야 한다"고 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