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LG(003550)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 취득한 자기주식 보통주 중 302만9580주를 소각하기로 했다.
28일 금융감독원(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번에 LG가 소각 예정인 금액은 보통주 자기주식의 주당 평균취득단가 8만2520원 기준 약 2500억 원으로 전체 발행한 보통주 주식 수 1.93%에 해당된다. 소각 예정일은 내달 4일이다.
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이전에 취득한 자사주를 영구적으로 없애는 방식인데, 발행 주식 수를 줄여 주당순이익(EPS, Earning Per Share)을 올리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배당과 함께 대표적인 주주환원 정책 중 하나다.
앞서 LG는 LX 홀딩스와 분할 과정에서 취득한 보통주 4만 9828주와 우선주 1만421주를 더해 총 6만249주의 자사주를 지난 4월 29일 소각을 완료한 바 있다.
LG는 "이번 소각 이후 잔여 자기주식 보통주 302만9581주도 2026년 내에 전량 소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대신증권은 "단기적으로는 주가 모멘텀이 다소 제한적일 수 있으나, 인공지능(AI)과 2차전지, 화학 구조조정 등 미래 성장 동력이 차근차근 확보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라며 "상장 자회사들의 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고, 자사주 소각 및 배당을 포함한 주주환원 정책도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KB증권은 "LG의 AI 투자 확대가 그룹 내 사업 전반에 긍정적 효과를 낼 가능성이 크다"며 "현 주가는 저평가 영역으로, 중장기적 투자 매력이 유효하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날 LG는 보통주와 우선주 각각 1주당 1000원의 첫 중간배당도 결정했다. 배당 기준일은 9월12일이며 지급예정일은 9월 26일, 중간배당금 총액은 약 1542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발표한 배당성향 상향, 중간배당 도입 등을 포함한 기업가치 제고 정책 중 하나다. 배당성향의 경우 하한선을 별도 조정 기준 당기순이익의 50%에서 60% 이상으로 높였다. 특히 올 초 LG는 당기순이익 감소에도 지난해와 동일하게 현금배당을 실시했으며, 배당성향은 76%였다.
이 밖에도 안정적인 경영권 유지와 수익구조 제고를 위한 자회사 지분 매입도 나섰다. LG는 작년 11월부터 올 3월까지 LG전자와 LG화학 주식 총 5000억원 규모를 사들였으며 이에 따라 LG의 LG화학 지분율은 31.52%, LG전자 지분율은 31.76%로 확대됐다. 자회사 지분이 높아지면 배당 수익이 늘어나는데, 이는 다시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돌아가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될 수 있다는 게 LG의 설명이다.
LG는 연결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을 2027년까지 8~10%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자기자본이익률은 당기순이익을 자본총계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자기 자본을 통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를 의미한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LG전자는 최근 50세 이상 직원과 최근 3년간 성과가 낮은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 올해 희망퇴직은 지난 2023년 당시 규모의 희망퇴직 위로금과 자녀학자금 등을 지급할 것으로 추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