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NH투자증권 IB 고위 임원, 공개매수 정보 유출…주가조작 근절 합동반 '압수수색'

 

[IE 금융] 금융당국이 NH투자증권 투자은행(IB) 담당 고위 임원이 상장사 공개매수와 관련 미공개 정보를 이용했다는 의혹에 대해 수사에 나섰다.

 

28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로 구성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합동대응단)'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본사를 압수수색을 했다고 알렸다.

 

합동대응단에 따르면 NH투자증권 임원 A는 최근 약 2년 동안 NH투자증권이 공개매수를 주관했던 11개 종목의 공개매수 관련 중요 정보를 직장동료와 지인에게 전달했으며 해당 정보를 전달받은 이들은 공개매수 사실이 시장에 공표되기 전 해당 주식을 매수, 공표 후 주가가 상승하면 전량 매도하는 방식으로 20억 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편취했다.

 

 

공개매수는 경영권 확보와 같은 목적으로 주식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기간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증권시장 밖에서 주식을 매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개매수 가격은 통상 현재 주가보다 높게 책정되므로 공개매수 사실 발표 시 주가가 상승하는 '호재성 정보'로 인식되는 만큼, 자본시장법은 일반 투자자들에 공표되기 전까지 같은 정보를 주식매매에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이용하게 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합동단의 매매 분석 및 자금 추적 내용을 보면 공개매수 발표 전·후 임원 A와 정보이용자들 간 주식매매 관련 자금으로 보이는 거액의 금전거래가 빈번하게 발견됐으며 이들 간 부당 이득을 공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도 포착됐다.

 

더불어 정보를 전달받아 주식을 매매한 혐의자들은 친인척 등 명의의 차명 증권계좌를 다수 사용했으며 사용한 차명 계좌도 수시로 바꿔가며 매매한 것으로 파악됐다. 증권사 내부 또는 금융당국의 감시망을 회피하기 위한 것.

 

합동대응단 측은 "이번 사건과 별개로 지난 7월 금융위는 NH투자증권의 공개매수 담당 실무 직원의 또 다른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며 "이 증권사는 공개매수 업무를 총괄하는 주관 증권사로서 독보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어, 이번 조사를 통해 내부통제 체계를 스스로 재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이번 사건은 자본시장에서의 불공정거래 척결을 위해 출범한 합동대응단의 2호 사건이 될 예정.

 

앞서 합동대응단은 1호 사건으로 종합병원·대형학원 운영자 등 일명 '슈퍼 리치'와 유명 사모펀드 전직 임원 및 금융회사 지점장 등 금융 전문가들이 1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동원한 대형 주가조작단을 적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