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금융감독원(금감원)이 MBK파트너스,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고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증거를 확보했다.
24일 금감원 이복현 원장은 금감원 본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을 통해 "방대한 자료 분석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해 검찰에 이첩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21일 회생절차에 들어간 홈플러스와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MBK 주요 경영진에 대한 부정거래 혐의를 검찰에 통보했다.
MBK와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에 대해 지난 2월28일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 강등을 통보받은 뒤 지난 3월4일 신청했다고 주장했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MBK와 홈플러스가 이보다 앞서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뒤 사전에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해 단기채권(ABSTB 등)을 발행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대해 이복현 원장은 "MBK와 홈플러스 측이 회생 신청 이후 보여준 모습을 보면 채무자 및 그 대주주와 채권단 간의 주객이 전도됐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납품업체에 대한 상거래 채권을 정상적으로 변제하겠다고 여러 차례 발표했음에도 변제가 지연돼 납품업체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며 "3월부터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임대료의 감액을 임대인 측에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또 이미 발표한 카드 물품대금 기초자산 단기전자유동화증권(ABSTB) 전액 변제도 다른 채권자들의 동의 및 법원의 허가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여기 더해 그는 "홈플러스 대주주 측의 채무자 회사에 대한 추가 출자나 주주 우선 책임 원칙에 따른 주식 소각 등 자구책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이 없다"며 "납품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의 희생을 강요하면서 정작 자기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그동안의 우려가 현실화하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시간을 끌며 회생 계획을 강요하는 식의 전략적 접근보다 채권단, 납품업체, 임대인, 근로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진심 어린 이해와 양보를 구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며 "이 시점부터라도 고민하고 함께 실효성 있고 진정성 있는 사태 해결을 모색할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더불어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700억 원의 사재를 출연한 것에 대해 그는 "특정 개인이 몇백억 원을 출연했다는 등 개인 희생과 관련된 프레임으로 보는 시각은 본질을 흐리는 것"이라며 "회장이 출자를 안 하더라도 홈플러스 주주가 기업 운영과 관련된 자금을 얼마 정도 낼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지난 2월 말 신용평가사(신평사)들은 홈플러스의 기업어음과 단기사채 신용등급을 A3에서 A3-로 낮춤.
한국신용평가(한신평)는 "영업 활동 효율화, 주요 점포 리뉴얼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꾀하고 있지만, 집객력 및 매출 회복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언급.
한국기업평가(한기평)도 "영업 실적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는 점, 과중한 재무 부담이 지속하고 있다는 점, 중단기 내 영업실적과 재무구조 개선 여력이 크지 않을 전망 등을 반영했다"고 설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