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기업회생에 들어간 홈플러스가 앞서 결정한 15개 점포 대해 폐점을 중단하기로 했다. 현재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인수 의향자와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에서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이후 기자들에게 "김 회장이 적어도 매수 시까지 (현재 폐점 작업이 진행 중인) 15개 점포를 폐점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또다른 점포 역시 새 매수자에게 결정에 맡기기로 했다.
같이 면담한 민주당 김남근 의원은 "김 회장에 따르면 현재 매수 협상을 하는 중인데, 오는 11월10일 전까지는 협상을 끝내야 한다고 했다"며 "매수 이후 그 매수인이 폐점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회장은 현재 재무적인 어려움이 있어 몇 가지 조건이 이야기돼야 폐점을 안 할 수 있다고 했다"며 "기업에서 물품 공급을 제대로 안 해주는 게 문제 해결이 조건 중 하나인데, 정부가 중재해 협의하도록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간담회에 앞서 김 원내대표와 홈플러스 대책 태스크포스(TF)는 홈플러스 노조 및 점포 노동자, 입점업주 대표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TF는 홈플러스 폐점을 막고 정상화 방안 및 피해자에 대한 구체적인 구제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이의환 비상대책위원장도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을 믿었는데 파탄으로 내몬 김병주 회장이 원망스럽다"며 "김 회장에게는 1억~2억 원이 푼돈이지만 우리는 죽을 수도 있는 돈"이라고 호소했다.
마트노조 안수용 홈플러스지부장은 "많은 고객들이 '홈플러스가 언제 망해 문을 닫느냐'고 묻는다"며 "현재 예정된 15개 점포의 폐점을 막는 것부터 시작해 홈플러스를 살려달라"고 부탁했다.
이에 대해 김 원내대표는 "단도직입적으로 폐점은 안 된다"라며 "폐점을 막으려면 MBK가 먼저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하는데, 약속한 투자를 지키고 폐점이 아닌 정상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기한은 오는 11월10일. 앞서 이 회사는 이달 초 서울회생법원에 인수 의향자를 구하지 못해 회생계획안 제출기간 연장신청서를 제출했으며 법원이 이를 허용해 두 달 연장했기 때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