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강력한 새 멤버" 애플, 보급형 AI 탑재 '애플 16e' 출시 임박

 

[IE 산업] 애플이 3년 만에 인공지능(AI) 기능을 갖춘 저렴한 보급형 모델 '애플 16e'를 오는 28일 판매한다. 이 같은 보급형 모델은 지난 2016년에 첫 공개한 뒤 2020년, 2022년에 이어 네 번째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애플은 보급형 모델에 'SE'를 붙였지만, 이번에는 명칭을 '16e'로 변경했다. 이는 아이폰16 시리즈의 연장선이란 의미를 담았다. 애플은 "아이폰 16e는 강력하면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라인업을 완성해 더 많은 사람이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이폰 16e는 기존 보급형 모델과 달리 전면 하단의 홈 버튼을 없앴으며 얼굴 인식 기능 '페이스 ID'를 탑재했다. 특히 스마트폰 두뇌 담당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아이폰 16 시리즈와 동일한 애플 자체 개발한 최신 칩 A18을 넣었다. 모뎀의 경우 기존 퀄컴 모뎀 칩 대신 처음 자체 설계한 C1을 적용했다.

 

충전 단자는 USB-C 타입이며 애플 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를 지원해 이미지 생성, 알림 요약과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후면 카메라는 하나만 탑재해 고급 모델이 최대 세 개 카메라를 장착한 것과 차이가 있다. 또 자석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인 '맥세이프'도 지원하지 않는다.

 

한국은 아이폰 16e 1차 출시국에 포함, 이달 21일부터 예약판매를 받고 같은 달 28일 정식 출시한다. 애플 인텔리전스의 한국어 지원은 오는 4월부터다.

 

아이폰 16e 가격은 128GB 기준 599달러(약 99만 원)부터다. 이는 지난 9월 출시된 주력 모델인 아이폰 16 시리즈 기본 모델보다 200달러 저렴하며 3년 전 출시한 보급형 모델 SE3보다 170달러가 비싸다.

 

AI와 같은 최신 기능은 갖췄지만, 보급형임에도 다소 높은 가격은 소비자의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 정보기술(IT) 매체 시넷은 "애플의 기본 프리미엄 모델 가격의 절반 수준인데, 5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사양과 신뢰성을 갖춘 스마트폰이라는 SE 시리즈의 강점이 사라졌다"고 언급했다.

 

여기 더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자 애플이 이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아이폰 가격을 9%가량 올릴 필요가 있을 것이라는 투자은행 분석도 구매 욕구 하락 중 하나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것을 시작으로 추가 관세 부과 국가를 확대 중이다.

 

이와 관련해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왐시 모한 애널리스트는 "모든 애플 제품이 적어도 10% 관세에 직면하게 된다는 가정하에 애플이 아이폰·아이패드 등의 가격을 9% 정도 올려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이달 초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 S25를 출시한 삼성전자도 조만간 보급형 모델을 내놓을 예정이다. 대상 모델은 '갤럭시A36(가칭)'이 유력하며 출시 전 막바지 단계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IT팁스터(정보유출자) 에반블래스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갤럭시A36 이미지를 올리기도 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지난해 4분기 애플 전체 매출은 증가했지만 아이폰 매출은 전년 대비 1% 감소. 특히 이 기간 애플 중국 시장 매출은 화웨이를 비롯한 현지업체에 밀려 11% 급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