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은행 주담대 금리 2년 만에 6%대 진입…높은 은행 문턱에 '한숨'

 

[IE 금융] 최근 시장 금리가 상승하는 동시에 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도 약 2년 만에 다시 6%대에 진입. 여기 더해 부동산 대출 규제로 가뜩이나 좁아진 은행 대출 문이 닫히는 분위기.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14일 기준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 주담대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930~6.060%로 집계.

 

이들 4대 은행에서 6%대 혼합형 금리는 지난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 지난 8월 말(연 3.460~5.546%)과 비교하면 상단은 0.514%포인트(p), 하단은 0.470%p 증가. 이는 혼합형 금리의 주요 지표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2.836%에서 3.399%로 0.563%p 올랐기 때문.

 

신용대출 금리(1등급·만기 1년) 역시 연 3.520~4.990%에서 3.790~5.250%로 상단이 0.260%p, 하단이 0.270%p씩 상승. 같은 기간 지표 금리인 은행채 1년물 금리가 0.338%p 뛴 영향.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기준·연 3.770~5.768%) 역시 같은 기간 상단이 0.263%p 증가. 주담대 금리에 영향을 주는 코픽스는 0.01%p 올랐지만, 부동산·가계대출 규제 강화에 은행들이 인상 폭을 지표금리 이상으로 관리한 것으로 해석 가능.

 

아울러 집값·환율 불안까지 겹치면서 이달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역시 불투명한 만큼, 대출 금리 오름세와 가계대출 한도 축소 현상이 적어도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추정. 총부채원리금비율(DSR) 규제에 따라 산출식에 사용되는 금리 수준이 높을수록 원리금 상환 추정액은 커지고 그만큼 최대 대출 가능액은 감소.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한은이 발표한 '2025년 10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주담대(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934조8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2조1000억 원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