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제 오후 7시35분께 마블 스튜디오의 슈퍼히어로 캐릭터 '캡틴 아메리카' 복장을 입은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인 40대 남성 안 모 씨가 주한 중국대사관에 난입을 시도한 사건이 있었죠. 경찰이 건조물 침입 미수 혐의를 들어 현행범으로 체포한 후 안 씨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혐중 여론을 체감하라는 메시지 전달이 목적이었던 행동'이라는 내용의 게시글을 올렸습니다. 하루가 지나고 중국대사관이 한국 정부에 우려와 유감을 전달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가뜩이나 정국이 어수선한 마당에 이게 무슨 나라 망신스러운 소동인지 모르겠습니다. 서울특별시 중구 소재 행정동인 명동(明洞)에는 중국과 함께 그리스, 싱가포르, 우루과이, 칠레,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등 여러 나라의 대사관이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명동은 외국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거대 쇼핑 번화가이기도 하죠. 우리나라를 벗어난 곳에 한자 표기는 다르지만 밝다는 의미로는 동일한 지역이 있습니다. 중국 길림성 용정시 용정 서남쪽 15㎞ 부근에 위치하며 1910∼1920년대 이 지역 한인들의 문화교육운동 중심지 역할을 하던 마을. 1899년 2월18일 김향덕의 안내를 받은 문치정 가문의 40명, 김하규 가문 63명, 김약연 가문 31명, 남위언 가문 7명까지 모두 142명이 이상향 건설을 목적 삼아 두만강 북쪽 지역 일대인 북간도 부걸라재(鵓鴿磖子·비둘기 바위)로 이주해 이곳을 명동촌(明東村·동방을 밝히는 마을)이라고 명명했죠. 이후 이들은 일대 토지를 사들여 교육 관련 경비를 충당할 학전(學田)을 마련하며 교육 기금을 조성하는 동시에 김약연 등은 1901년 '규암재(圭岩齋)', 남위언은 '오룡재(五龍齋)', 김하규는 '소암재(素岩齋)'라는 공부방을 만들어 배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학문을 전파했습니다. 1908년에는 여러 공부방을 뭉치고 만주에 설립된 한국 첫 신학문 민족교육기관인 서전서숙(瑞甸書塾)의 교사들을 초빙해 명동서숙(明東書塾)을 세웠는데 이곳은 명동학교, 명동중학 등으로 발전하며 이 지역 교육 중심지가 됐고요. 1900년에는 윤재옥 가문도 이곳으로 이주하며 새롭게 터를 꾸렸습니다. 바로 일제강점기의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윤동주의 증조부죠. 윤동주는 1917년 12월30일 명동촌에서 출생했고요. 김약연은 윤동주 모친 김용의 오빠입니다. 독립운동가 겸 수필가 송몽규, 사회·통일운동가 문익환 목사 등과 함께 명동학교에서 수학하던 윤동주는 학업에 더욱 정진하고자 1932년 시내로 거처를 옮긴 후 은진·숭실·광명학교(光明學校)를 거쳐 연희전문(延禧專門) 문과를 졸업했죠. 수학(受學)을 위해 일본 도시샤대학 유학을 떠난 윤동주는 1943년 7월, 이미 감시대상이던 송몽규와 '재교토 조선인 학생 민족주의 그룹사건'으로 붙잡혀 옥고를 치르다가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순국했습니다. 1945년 오늘은 윤동주 님이 향년 27세로 세상을 떠난 날입니다. 올해는 순국 80주기 되는 해죠. 1983년 철거됐던 그의 명동촌 생가는 해외한민족연구소가 나서 1995년에 본채, 별채 복원 후 2007년 연변조선족자치주 중점문화재보호단위로 지정됐습니다. 지금은 룽징시 인민정부의 복원사업에 따라 윤동주전람관을 건립한 것은 물론 명동촌 일대 개발로 생가 환경까지 더 개선됐다고 하네요. 다만 이 과정에서 중국은 윤동주 생가 입구 경계석에 '중국조선족애국시인'이라는 문구를 새기는 등 국적을 왜곡하는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윤동주 님이 일본에서 생체실험이 거론될 만큼 가혹한 옥중 생활로 목숨을 잃은 것도 참기 힘든 판국에 사후에는 중국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먹칠을 하니 그제 있던 중국대사관 난입 시도 사건도 그렇고 이래저래 복장이 터질 지경이네요.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악덕 지주(지극히 주관적인) 무작위 명반 소개] 열 번째는 1983년 6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모여 데모앨범을 내놓은 이래 언제까지든 거장의 명성을 공고히 할 스래시 메탈밴드 Megadeth(메가데스)의 앨범 'Peace Sells... But Who's Buying?'. 이제야 꺼내는 얘기지만 제 주관이 뚜렷하지 않은 탓인지 전 소위 '명반'이라 일컫는 앨범을 다룰 때면 늘 조심스럽습니다. 전문가를 비롯해 많은 이들이 명반으로 칭하는 작품들은 분명 이유가 있을 텐데 제 기준에선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어쩌다 있었거든요. 이 앨범도 그랬습니다. 이 당시 밴드 라인업의 다채로운 기교가 투박하다는 느낌을 받은 채 꽤 오랜 시간을 보냈죠. 정규 2집으로 1986년 7월 릴리즈한 이 앨범에는 총 재생시간 35분 36초의 8곡이 담겼는데 Metallica(메탈리카), Slayer(슬레이어), Anthrax(앤쓰랙스)와 함께 미국 스래시 메탈 'TOP 4' 밴드에 포함되는 이들의 명성에 의심을 품게 한 2집은 지금도 제가 가장 흥미롭게 듣는 작품 중 하나가 됐습니다. 팀을 상징하는 데이브 머스테인의 메탈리카 시절까지 돌아보지 않아도 멤버와 관련한 잡음이 많아 어떻게 보면 세션으로 꾸린 밴드처럼 비치기도 하는 메가데스였기에 제가 은근한 선입견을 가졌을지도 모릅니다. 이 앨범을 함께 했던 가 사무엘슨과 크리스 폴란드도 심각한 마약 중독으로 결국 팀에서 이탈(호사다마인지 이후 메가데스 쌍두 기타의 표상 마티 프리드먼이 들어왔지만…)했으니까요. 2집에선 역시나 Dave Mustaine(데이브 머스테인)이 보컬과 기타를 맡았고 David Ellefson(데이빗 엘렙슨)이 베이스 및 백킹 보컬, Chris Poland(크리스 폴란드)가 기타, Gar Samuelson(가 사무엘슨)이 드럼을 담당했습니다. 어쨌거나 '가장 순수한 메탈을 추구한 음반'이라는 찬사까지 듣는 이 작품은 북미 내에서만 100만 장 넘는 판매고를 올리는 등 상업적인 성공까지 거두며 스래시 메탈계에 지울 수 없는 족적을 남겼습니다. 그럼 각 수록곡들 살피면서 이번 편 마무리하죠. 첫 곡 'Wake Up Dead'는 외도한 남편의 죽음을 얘기하는 노래로 본 앨범 전체의 분위기를 알 수 있죠. 곡 전개가 돋보이는데 뒤틀릴 정도로 꼬아놓은 리프와 롤 스네어가 귀에 감깁니다. 이어지는 'The Conjuring'은 악마와의 거래를 담은 곡으로 각종 음악서적 관계자들에게 지적인 메탈밴드라는 헌사까지 받은 메가데스의 기술적인 면모를 새삼 느끼게 하죠. 리프 구성도 그렇지만 밴드 특유의 냉소가 가득합니다. 세 번째 곡 'Peace Sells'은 평화에 값을 매겨서 팔면 아무도 사지 않을 거라는 데이브 머스테인의 차가운 조소가 전반에 깔린 2집 타이틀로 따로 설명이 필요 없는 곡이고요. 다음 곡 'Devils Island'는 지구에서 가장 영양이 없는 땅으로 알려진 프랑스령 기아나의 유배지 '악마섬'에 갇힌 사람의 얘기입니다. 변박이 확연하게 감지되는 곡으로 보컬의 냉철함이 곡 전체에 냉기를 불어넣습니다. 크리스 폴란드의 스타트 기타 솔로가 인상적인 다섯 번째 트랙 'Good Mourning/Black Friday'는 사이코 킬러를 다룹니다. 템포를 바꾸는 테크니컬한 연주가 조화를 이루는 곡이며 두 기타리스트 사이의 긴장감도 느낄 수 있죠. 개인적으로 'Peace Sells... But Who's Buying?’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매기고 싶습니다. 여섯 번째 곡 'Bad Omen'은 소환한 악마가 소환자들의 영혼을 가져갔다는 내용처럼 혼을 건드릴 수준의 연주로 채운 곡이죠. 괴이한 전개로 몰다가 중반 이후 터지는 기타 솔로는 지금도 답답한 일이 있을 때 가끔 듣게 됩니다. 미신을 믿지 않는다는 제프 벡의 원곡을 커버한 7번 곡 'I Ain't Superstitious'는 재즈풍의 메가데스라는 이색적인 분위기를 풍기며 데이브 머스테인을 제외하고 재즈와 관련 있는 멤버들인지라 크리스 폴란드가 곡을 이끕니다. 마지막 곡 'My Last Words'에서는 러시안 룰렛을 다루는데 이 앨범에서 세 번째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네요. 분위기를 고조시킨 후 기타 솔로에 흐름을 넘기기 전까지 베이스의 비중이 비교적 큰 곡으로 앨범 전체를 아쉽지 않게 마무리해 줍니다. Wake Up Dead 3:41 The Conjuring 5:04 Peace Sells 4:04 Devil's Island 5:06 Good Mourning / Black Friday 6:42 Bad Omen 4:05 I Ain't Superstitious 2:46 My Last Words 4:48 /이슈에디코 정금철 기자/
지난달 전국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0.7도 높아 여러 벌을 껴입게 되는 날이 적었는데요. 이번 달에도 큰 기온 변동이 예상된다며 기상청은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습니다. 이런 기상 이후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닌데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일하는 기후 공동연구진들은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취지에서 만들어진 파리기후변화협약(파리협약)이 제시한 '2도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진단을 내렸습니다. 프랑스 보험협회가 내놓은 '제8차 연례 지표'를 보면 기후 변화는 사이버 공격과 함께 주요 위험 요인 공동 1위에 올랐는데요.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해에 따른 보험 비용은 1350억 달러(약 196조 원)으로 추산됩니다. 이 같이 급변하게 변하는 기후는 최근 코코아와 원두 선물 가격에 큰 영향을 끼치며 소비자의 지갑을 위협하고 있는데요. 이를 대변하는 단어로 '기후플레이션(Climateflation)'이 있습니다. 이는 기후(Climate)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기후 변화 때문에 농작물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물가가 치솟는 현상을 뜻하는 말인데요. 초콜릿 원료인 코코아 가격의 경우 미국 뉴욕상품거래소 기준 작년 말 미터톤(metric t)당 1만2526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기간 코코아 가격 상승률은 178%였고요. 이달 5일 기준으로는 1만514달러에 거리를 마쳤습니다. 코코아 원산지인 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에서 기상 악화와 병충해 확산에 현지 농민들이 코코아 재배를 포기했기 때문입니다. 국제코코아기구(ICCO)에 따르면 엘니뇨에 따른 폭우 피해와 병충해 확산 탓에 지난 2023년 9월부터 작년 9월까지 코트디부아르, 가나 코코아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 27% 감소했다네요. 이런 상황에서 현지 정부에서 시행 중인 '고정 가격제'에 가격 급등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자 결국 밭을 엎는 농민들이 생겼고요. 이 같은 원가 부담을 견디지 못한 제과업계는 제품 가격 인상에 나섰는데요. 롯데웰푸드는 오는 17일부터 빼빼로, 가나 초콜릿, 크런키 등 건빙과 26종의 가격은 평균 9.5% 올리기로 했습니다. 작년 6월 이후 약 8개월 만에 추가 가격 인상을 결정한 것이죠. 빙그레도 커피, 코코아, 과채 농축액 가격이 급격히 상승해 다음 달부터 커피, 아이스크림 제품 20여 종의 가격 인상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전 세계 1, 2위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과 베트남에서 작년 폭우와 가뭄이 연이어 닥치며 원두 수확에 어려움을 겪었는데요.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브라질과 베트남은 세계 커피 생산의 39%, 16% 정도 차지했습니다. 그러나 생산 환경에 차질이 생기면서 지난달 30일 기준 미국 ICE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된 아라비카 원두 가격은 t당 8232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는데요. 아라비카 원두와 양대 산맥인 로부스타 원두도 이날 기준 영국 런던국제금융선물거래소에서 t당 5734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71.9% 급등했습니다. 이처럼 치솟은 원두 가격은 당분간 내려오지 않을 전망인데요. 브라질 같은 경우 올해 원두 수출량을 전년보다 260만 자루 줄어든 4050만 자루로 예측했고요. 세계 5위 로부스타 생산국 인도도 올해 원두 수출량이 전년 대비 10% 이상 감소할 것이라고 바라봤습니다. 브로커 수크덴파이낸셜 보고서에 따르면 브라질의 현재 커피 재고가 기존 800만 자루에서 50만 자루로 줄었는데요. 이를 당장 해결할 뾰족한 수는 보이지 않습니다. 커피 묘목의 경우 생두를 수확하기까지 3~5년 이상 걸리며 기후 변화에 취약하기 때문이죠. 결국 커피 프랜차이즈업계는 줄줄이 커피 음료 가격을 상향했는데요. 컴포즈커피는 오는 13일부터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을 올리기로 했는데, 론칭 이후 첫 인상입니다. 스타벅스는 지난달 24일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355mL) 가격을 기존 4500원에서 4700원으로 올렸고요. 폴바셋과 할리스커피도 지난달부터 일부 커피 음료 가격을 200~400원씩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저는 재밌는 영화를 감상할 때 목이 따끔할 정도로 탄산 가득한 제로 콜라를 즐겨 마시는데요. 다만 작품 속 등장인물이 시원하게 맥주를 들이켜는 모습을 보면 내 손에 콜라가 아니라 맥주였으면 하는 마음도 들더라고요. 이런 까닭에 가끔은 매점에서 콜라 대신 맥주를 사 마실 때도 있습니다. 저만 그렇게 생각하는 게 아닌지, 지난해 12월에 열린 '서울독립영화제(서독제)'에서 MD(Merchandise, 홍보용 상품) 구입 줄만큼 길었던 이벤트 줄이 있었는데요. 바로 서독제 협찬사 중 하나였던 오비맥주의 '한맥' 증정 이벤트존이었습니다. 서독제와 한맥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팔로우한 뒤 보여주면 바로 한맥 한 캔을 받을 수 있어 저도 냉큼 받아 마셨고요. 이처럼 영화와 함께 맥주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한맥은 작년부터 관련한 프로모션을 펼쳤는데요. 서독제 협찬 외에도 작년 메가박스와 함께 '한맥 엑스트라 크리미 生' 생맥주를 제공하는 '무제한맥' 상영회도 진행한 바 있습니다. 한맥은 오비맥주의 프리미엄 라거 브랜드인데요. 지난 2023년 3월 리뉴얼을 통해 강화된 거품 지속력을 지녔고 목 넘김이 더욱 부드러워졌다는 게 업체 측의 설명입니다. 이어 작년 3월 한맥은 생맥주 '한맥 엑스트라 크리미 生'도 내놨고요. 이 같은 특징 덕분에 한맥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누적 판매량 230만 잔을 돌파했을뿐더러, 판매처도 2000여 곳에서 약 20배 늘어났다고 합니다. 오비맥주는 올해 한맥 브랜드를 더 알리기 위해 영화를 매개로 다채로운 캠페인을 준비할 예정이라고 알렸는데요. 오랫동안 지속되는 한맥의 거품과 부드러운 풍미는 영화를 감상하며 천천히 음미하기에 안성맞춤이라는 이유에서입니다. 오비맥주가 선보일 '수요 한맥회' 캠페인은 매주 수요일 영화 및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ver The Top, OTT) 플랫폼과 손잡고 마련했는데요. 일상에 지친 소비자들에게 한 주의 중반인 수요일을 특별한 여가 시간으로 바꿔준다는 게 이 캠페인의 기획 의도입니다. 우선 한맥은 매달 영화 큐레이션을 내놓을 예정인데요. 지난달 29일에는 OTT 플랫폼 '왓챠(Watcha)'에서 설 연휴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감상하기 좋은 추천작을 공개했습니다. 캠페인 론칭을 기념해 이달 3일까지 한맥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팔로우한 뒤 댓글을 남기면 '한맥 엑스트라 크리미 生 거품기(5명)'와 메가박스 스위트 부티크 티켓(10명, 1인 2매)을 증정한다네요. 이 외에도 인기작 OTT 단독 재개봉, 영화 협업 상품 출시, 주요 영화제 후원 등을 연내 계획하고 있답니다. 더불어 지난해 12월 출시한 '한맥 엑스트라 크리미 生 거품기'를 활용해 홈 시네마를 즐기는 이들을 위한 영화 연계 굿즈 세트도 준비 중이고요. 한맥 관계자는 "영화를 통해 한맥의 부드러운 매력을 전하고자 이번 캠페인을 기획했다"며 "추후 온·오프라인에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하겠다"고 제언했습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악덕 지주(지극히 주관적인) 무작위 명반 소개] 아홉 번째는 1969년 영국 버밍엄에서 결성해 현재까지도 '메탈 신(神)'의 지위를 꽉 잡은 헤비메탈밴드 Judas Priest(주다스 프리스트)의 앨범 'Painkiller'. 1971년 6월 무명(untitled demo)의 데모 발매 이후 1990년 9월3일, 총 10곡 재생시간 46분 8초의 앨범을 내놓은 기타리스트 Glenn Tipton(글렌 팁튼), K. K. Downing(K. K. 다우닝), 베이시스트 Ian Hill(이언 힐), 드러머 Scott Travis(스콧 트래비스) 그리고 보컬 Rob Halford(롭 핼포드). 메탈헤드들이 추종하는 여러 장르의 구획을 통째 뭉쳐서 열어버리는 메탈 그 자체로 칭할 음반. 1986년 'Turbo'와 1988년 'Ram It Down'의 생채기 이후 명반을 갈망하던 주다스 프리스트 팬들의 상처를 치유한 열두 번째 정규 앨범. 스콧 트래비스의 더블 베이스 임팩트부터 청자들을 혼란에 빠뜨린 첫 곡 Painkiller를 위시해 명반과 전설의 구성에 대한 윤척(倫脊)없는 글을 나열하게 만드는 작품입니다. 지난 1980년 지금의 주다스 프리스트를 존재하게 한 헤비메탈의 정석 격인 이들의 첫 번째 명반 'British Steel'과 Painkiller를 이어주는 1982년의 명반 'Screaming for Vengeance'. 물론 1976년 나온 정규 2집 'Sad Wings of Destiny', 1984년 9집 'Defenders of the Faith'도 뺄 수 없는 수작이죠. 개인적으로 원조의 품격이 너무 대단한 곡 Painkiller에 30년 넘게 넋이 나가있는 터라 이들의 앨범 중에서는 Painkiller 앨범에 가장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수많은 커버곡 중에서는 1998년 Death(클릭 시 관련 문서 이동)의 마지막 정규 앨범 'The Sound of Perseverance' 클로징 트랙이 으뜸. 애장하는 앨범을 주제로 다루면 지극히 감정에 치우칠 듯해 조심스럽고 간결하게 작성해 보겠습니다. 그런데 수록곡 한 곡 한 곡 따로 언급하기도 힘드네요. 앨범 모든 곡이 정신이 혼미할 만큼의 아드레날린을 제공합니다. 질릴 만큼 듣고 듣지 않으려 해도 다시 듣는 만족감이 한결같은 앨범이죠. 굳이 단점을 꼽자면 타이틀곡인 Painkiller가 언젠가 집대성해 나올 헤비메탈 역사서 첫 장에 기재될 정도로 확실하게 튄다는 정도지만 대다수 음악평론가들 역시 다른 수록곡들도 높은 완성도를 갖췄다고 평합니다. 짧은 연주로 한 템포 접는 9번 트랙 'Battle Hymn'과 다른 흐름을 보이는 8번 'A Touch Of Evil'을 제외하면 기세등등한 빛나는 날카로움이 전면에 도사리는데요. 절로 박자를 맞추게 되는 2번 'Hell Patrol', 보컬이 스타트를 끊고 속도감과 힘을 고르게 전달하는 3번 'All Guns Blazing', 독일식 스피드메탈을 연상케 하는 4, 5번 'Leather Rebel' 'Metal Meltdown'에 6번 'Night Crawler'는 킬링트랙으로 손색없습니다. 분위기를 전할 바통을 이어받은 7번 'Between The Hammer & The Anvil', 보컬의 매력을 뽐내는 마지막 곡 'One Shot At Glory'까지… 일단 한 번 들어보시라니까요. Painkiller 6:06 Hell Patrol 3:37 All Guns Blazing 3:58 Leather Rebel 3:35 Metal Meltdown 4:49 Night Crawler 5:45 Between the Hammer & The Anvil 4:49 A Touch of Evil 5:45 Battle Hymn 0:57 One Shot at Glory 6:49 /이슈에디코 정금철 기자/
설 연휴 전국 곳곳에 강추위와 폭설 탓에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속출했는데요. 설 연휴 마지막인 30일 대부분 지역 기온이 영하로 내려간 만큼 귀경길 역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날 한국도로공사는 연휴 막바지 날 전국에서 차량 525만 대가 이동할 것으로 예상했는데요. 귀경길 정체는 이날 오후 5~6시 사이가 가장 심할 것으로 보이며 다음 날인 31일 오전 3시께 풀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보험개발원과 손해보험협회가 지난 2022~2024년까지 설 연휴 기간 자동차보험 대인사고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설 다음 날 일평균 사망자 수는 1.7명, 부상자 수는 247명으로 나타났는데요. 특히 설 다음 날 음주운전 피해자는 평상시 대비 22명(10.9%) 증가했는데요. 행정안전부에서도 이를 분석했더니 설 연휴 음주운전 교통사고 사상자 비율은 평상시보다 1.3배 늘었습니다. 이 기간 음주운전자 연령대는 20대(25.7%)가 가장 높았고요. 술을 조금이라도 마셨다면 운전은 절대 금물입니다. 소주나 맥주 한 잔만으로도 혈중알코올농도는 면허정지 수준인 0.03%까지 올라가는데요. 만약 음주운전으로 사람을 다치게 하면 1~15년 징역 또는 최대 3000만 원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또 지난 2022년 7월부터 ▲음주 ▲마약·약물 ▲무면허 ▲뺑소니 사고를 낸 운전자는 의무보험으로 지급된 보험금 전액과 임의보험 지급보험금 중 대인 1억 원, 대물 5000만 원까지 보험사에 납입해야 한다네요. 음주를 하지 않았더라도 운전대를 잡았다면 항상 예의주시해야 합니다.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전 전 엔진, 제동장치과 같은 차량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데요. 특히 전 좌석 안전띠 착용과 어린이 카시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설 연휴 동승자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운전자 착용률보다 16~17%포인트(p) 낮습니다. 여기 더해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과 영상 시청 자제해야 하며 운전 중 졸리고 피곤할 경우 휴게소와 졸음쉼터에서 충분한 휴식이 필요한데요. 이번 설 연휴처럼 춥고 눈이 많이 왔을 때 결빙 도로에서는 제동거리가 늘어나기 때문에 평소보다 앞차와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윈터타이너나 스노우체인 장착도 필수고요. 이 외에도 눈 탓에 노면이 미끄럽다면 고속도로 인터체인지(나들목)나 톨게이트 부근, 정체된 고속도로에서의 크루즈 기능 사용을 자제하는 게 좋습니다. 교량은 겨울철 수증기 결빙으로 미끄럼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을뿐더러, 차선 변경 금지 구역이므로 주행 차선을 철저히 준수해야 하고요.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현(現) 하나금융 함영주 회장이 임기 3년의 차기 회장으로 내정되면서 이목이 쏠렸습니다. 작년 12월 하나금융이 지배구조 내부 규범을 만 70세를 넘어도 회장 임기를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했는데, 당시 금융감독원(금감원) 이복현 원장은 함 회장의 연임을 위한 개정이 아닐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인데요. 28일 하나금융에 따르면 전날인 27일 하나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는 함영주 현 회장을 하나금융그룹의 차기 회장 최종 후보로 추천했습니다. 함 회장은 충청남도 부여 출신으로 1980년 고등학교 졸업 행원으로 하나은행 전신인 서울은행에 입행해 근무하면서 동시에 대학을 졸업했는데요. 하나은행 충청영업그룹을 이끌 당시 전국 영업실적 1위를 달성한 그는 지난 2015년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 통합한 후 첫 은행장을 맡았습니다. 이후 하나금융 부회장을 거친 뒤 2022년부터 현재까지 하나금융 회장직을 수행 중이고요. 회추위는 지난해 12월 후보 선정 과정을 통해 내부 3명, 외부 2명 등 총 5명의 최종 후보군(숏리스트)을 선정,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한 결과 함 회장의 연임을 택했는데요. 회추위 측은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금융산업 전반에 걸쳐 잠재된 리스크 요인을 고려할 때 그 어느 때보다 그룹을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는 리더십과 검증된 경험 및 노하우를 보유한 인물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회추위가 말하는 함 회장은 ▲조직 운영 효율성 제고 ▲내부통제 및 리스크 관리 내재화 ▲창사 이래 최대 경영실적 달성 ▲역대 최고 주가 갱신 등을 시현한 인물인데요. 이날 최종 후보로 추천된 함영주 현 회장 임기는 무기명 투표를 통해 오는 2028년 3월까지인 3년으로 확정됐습니다. 최종 선임은 오는 3월 개최 예정인 정기 주주총회(주총)와 이사회를 거쳐 이뤄질 예정이고요. 사실 올해 만 69세인 그는 3년 임기를 채울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작년 12월2일 하나금융이 지배구조 내부 규범을 개정하면서 가능해졌는데요. 내부 규범을 보면 이사 재임 연령을 만 70세까지로 하되, 재임 중 만 70세가 도래하는 경우 최종 임기를 '해당 임기' 이후 최초로 소집되는 정기 주총일까지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기존 규범에서는 해당 임기가 '해당 일'이었고요. 만약 기존 규범이 그대로였다면 함 회장은 연임에 성공해도 오는 2026년 11월 만 70세를 넘긴 뒤 정기 주총이 열리는 2027년 3월까지만 재임할 수 있었겠죠. 하나금융이 규범을 개정할 당시 함 회장의 연임을 위한 '셀프 개정'이라는 비판이 업계에서 오갔는데요. 이와 관련해 금감원 이복현 원장은 개정이 이뤄진 달에 열린 '건설업계 및 부동산시장 전문가 간담회'에서 열린 백브리핑에서 "3년 정도 특정 기간 안정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으로 규범을 개정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함 회장의 인성을 보면 본인이 셀프 개정이란 비판을 받을 형태로는 연임을 안 할 것으로 생각한다"는 믿음을 내비쳤고요. 그러면서 그는 "우리가 연임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내비치는 게 아니라, 대형 금융사의 내부통제 관리를 위해 연임 시점에 공정한 평가가 이뤄질 수 있는 체계가 마련돼야 하고 그런 부분까지 고려해 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믿는다"고 제언했습니다. 다만 앞서 그는 DGB금융의 대표 선임 연령 제한을 만 70세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지적한 적이 있는데요. 지난 2023년 10월 DGB금융이 김태오 전 회장의 3연임을 앞두고 이 같은 개정을 추진하자 "회추위가 열린 이후 연임이 가능토록 규정을 바꾸는 것은 축구 경기가 시작됐는데 도중에 룰을 깬 채 다시 경기를 시작하는 것"이라고 비판한 것입니다. 이 같은 그의 발언에 김 전 회장은 3연임 도전을 포기하고 자리에 물러나겠다고 발표했고요. 이처럼 DGB금융 당시에는 비판을 하지 않았냐는 질문에 대해 이 원장은 "DGB은 김 전 회장이 연임을 선언하는 과정에서 규정을 바꾸다 보니 시장에서 우려가 일었다며" 함 회장은 연임 도전을 할지 명확하게 입장을 밝힌 적이 없다"고 반박했는데요. 설 연휴 이뤄진 하나금융 회추위에서 함 회장의 3년 연임이 결정된 이 상황에 대해 이 원장이 어떻게 언급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자산운용사들이 해외주식형 토털 리턴(TR) ETF(상장지수펀드)에서 TR 명칭을 삭제, 분기 배당을 지급하는 프라이스 리턴(PR) 상품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우리나라 증시에 상장된 해외 TR ETF는 5개인데요. 이 가운데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S&P500 TR과 'KODEX 미국나스닥100TR' 비중은 90%에 가깝습니다. 이 외에도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S&P500TR' 'TIGER 미국나스닥100TR', 신한자산운용의 'SOL 미국배당다우존스TR' 등이 있고요. 업계 1위 삼성자산운용은 전날 홈페이지에 'Kodex 미국S&P500 TR'과 'Kodex 미국나스닥100 TR' 이름을 오는 24일부터 'Kodex 미국S&P500' 및 'Kodex 미국나스닥100'으로 바꾼다고 공지했는데요. 또 매년 1월, 4월 7월, 10월 말 분기 배당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상품 내용이 변경되더라도 이 상품 투자자들은 별도 조치를 할 필요가 없고 자동으로 분배금을 분기마다 받으면 됩니다. 업계 2위 미래에셋자산운용도 정책 변경에 따라 이날 자사에서 운용 중인 TR ETF 상품의 분배금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다음 달 10일까지 이 두 상품 중 하나를 매수하고 인증한 고객 중 추첨을 통해 교촌치킨 기프티콘을 제공한다네요. 이들 운용사가 이런 결정을 한 이유는 정부의 소득세법 시행령 개정안 때문인데요. 앞서 기획재정부(기재부)는 오는 7월부터 TR ETF 상품을 국내주식형에만 허용하겠다고 알렸습니다. TR ETF 상품은 무엇일까요? 이는 투자를 통해 생긴 이자나 배당금과 같은 수익을 바로 지급하는 대신 전액을 자동 재투자해 주는 상품인데요. 이렇게 배당금을 재투하면 더 많은 자금을 굴릴 수 있을뿐더러, 상품을 팔 때까지 배당소득세(15.4%)를 부과하지 않아 투자자들에게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해외지수 추종 ETF는 보유 기간에 이자·배당 수익이 발생하면 매년 소득세를 내야 하는데요. 적용 대상은 오는 7월부터 발생한 이자·배당 수익입니다. 기재부가 이런 결정을 내린 이유는 과세 형평성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계속 잇따랐기 때문인데요. 다만 정부는 국내 시장 육성을 위해 해외주식형 국내 ETF만 막기로 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기재부 정정훈 세제실장은 "이자·배당소득은 매년 과세하는 것이 대원칙이지만, 국내 시장 활성화를 위해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상품에서 국내 주식형에 일정 부분 비과세를 해주듯이 예외를 인정했다"며 "또 국내 주식형은 기초 자산에 대해 과세하지 않지만 해외 주식형은 모두 과세 대상인 점도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작은방 정리 중 옷장 위에 있던 봉제인형들을 찍었습니다. 어디서 받았는지 기억도 나지 않는 인형들인데 이렇게 보니 참 정겹네요. 먼지 제거가 번거롭긴 하지만요. 아마도 봉제인형 중 최고의 인지도를 뽐낼 테디베어도 있었는데 어디에 뒀는지 모르겠네요. 문득 테디베어를 제외하고 유명한 봉제인형은 무엇일지 궁금해졌습니다. 곰돌이 푸와 티거, 피글렛 등 그의 친구들, 패딩턴 베어(이리 보니 다 곰이네요)가 우선 생각나고 이후 떠오른 봉제인형은… 아마도 미국 동화작가 겸 삽화가 조니 그루엘(Johnny Gruelle)이 만든 캐릭터 '래기디 앤'(Raggedy Ann, 누더기 앤)이 수위권에 위치할 것으로 짐작됩니다. 지난 1915년, 조니 그루엘이 천장에서 찾은 낡은 인형에 헝겊을 덧대 만든 래기디 앤은 3년이 지나 역시 그가 1918년에 쓴 'Raggedy Ann Stories'에 처음 등장하는데요. 이후 래기디 앤과 동화를 원작으로 수많은 책과 영상작품들이 나왔고 2014년에는 이 인형이 주인공(?)인 공포영화까지 개봉합니다. 사탄의 인형도 가볍게 누를 악령의 인형 '애나벨'(Annabelle)의 정체는 미국 코네티컷주 먼로 소재 오컬트 박물관에 있던 래기디 앤이죠. 지난 2019년 폐업한 이 박물관은 퇴마사이자 영매사, 초자연현상조사관으로 컨저링 시리즈에도 출연했던 에드와 로렌 워렌 부부가 운영했었고 인형과 관련한 영화는 이들이 다뤘던 일이랍니다. 미국 영화사인 뉴 라인 시네마 '컨저링 유니버스'의 마스코트 격인 모체 애나벨을 비롯해 저주와 악마가 깃들었다는 박물관 소장품들은 현재 자취가 묘연한 상황이라고 하니 더욱 으스스하네요. 그리고 1809년 오늘은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서 시인이자 소설가, 편집자인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가 태어난 날입니다. 심각한 알코올 의존증 상태였던 포는 1849년 10월7일 향년 40세에 숨을 거뒀는데 24살의 어린 나이에 사별한 아내 버지니아 엘리자 클렘 포(Virginia Eliza Clemm Poe)를 평생 그리워했다고 하네요. 그래서 남긴 시가 포의 대표작 중 하나인 '애너벨 리'(Annabel Lee)입니다. 포의 마지막 시로 영시(英詩) 가운데 가장 널리 애송되는 시 중 하나인 애너벨 리는 결핵 탓에 요절한 아내를 회상하는 그의 생전 행적이죠.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대규모 산불이 14일(현지시각)로 8일째 매서운 기세로 이어지는 중입니다. 강한 돌풍 탓에 진화 작업에 난항을 겪고 있어서인데요. LA에서 악명 높은 '샌타애나' 돌풍이 밤에 강해지는 성향을 생각했을 때 14~15일 오전 사이가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는 게 현지 소방국의 설명입니다. LA 산불은 7일(현지 시각) 오전 10시30분께 LA 해안가 '퍼시픽 팰리세이즈' 공원에서 발생해 옆 마을인 말리부와 벤투라까지 번졌는데요. 화재 원인은 일주일이 지난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LA 카운티 절반에 해당하는 서북·동북 산지 지역에서 평균 시속 약 48~65㎞의 북동풍이 불 것으로 예상되는데, 돌풍이 불 때 바람 시속이 약 113㎞에 달합니다. 엎친 데 덮친 격 이 지역 습도는 8~15%로 화재 위험을 더욱 높였고요. 이런 가운데 LA 팰리세이즈 지역의 다수 소화전에서 물이 고갈되면서 화재 진압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도 들립니다. 이에 개빈 뉴섬 주지사는 주 공무원들에게 약 4억4000만 리터 규모의 저수지가 가동을 중단하고 일부 소화전이 말라버린 이유를 파악하라고 지시했고요. 전날까지 피해 지역에서 발견한 사망자는 24명, 실종 신고가 접수된 24명에 대해서는 계속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또 현재까지 서울 여의도 34배 넘는 지역에서 1만2000채 이상의 집과 건물이 불에 탔고요. 이런 만큼 이번 LA 산불이 역사상 최악의 화재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과 함께 보험업계에서는 손실만 3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추산도 나왔는데요.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대형 금융사 웰스파고는 보험업계 관련 손해 추산액이 300억 달러(약 43조9000억 원)라고 내다봤습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역시 보험업계 손실이 100억~300억 달러로 예상했고요. 날씨 정보업체 아큐웨더에서는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피해까지 생각하면 2500억~2750억 달러(약 366조~402조 원)로 추산했습니다. 대다수 미국 주요 보험사는 이미 캘리포니아주에서 철수한 상태인데요. CNN이 인용한 캘리포니아주 보험 데이터를 살펴보면 지난 2020~2022년 보험사들이 캘리포니아주에서 거부한 주택 보험 계약은 280만 건입니다. 캘리포니아주 최대 민간 보험사인 스테이트 팜은 작년에만 3만 건 이상의 주택 보험 계약 갱신을 거부했고요. 이는 기상 이변으로 산불이 급증했기 때문인데요.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지난 2017~2018년 이 지역에서 발생한 화재로 주요 보험사들은 무려 25년 수익에 해당하는 비용을 지불했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에서 캘리포니아 주택 보유자들은 정부가 제공하는 보험인 '페어 플랜(FAIR Plan)'에 가입했지만, 이는 민간 보험보다 보험료가 높고 보장 범위는 작습니다. 페어 플랜은 주거용 부동산 보상 한도는 최대 300만 달러(약 44억 원)인데요. 페어 플랜이 보유한 잉여 현금은 작년 1분기 기준 2억 달러(약 2928억 원)에 불과해 이를 제대로 지급할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습니다. LA 현지에서 영업 중인 국내 보험사의 손실 규모에 대한 이목도 쏠리고 있는데요. 현대해상은 LA인근 지역 물건이 4건 있지만, 산불이 난 지역과 떨어졌다고 알렸는데요. 재보험사 코리안리는 이번 LA산불 추정 손실액을 약 1000만~1900만 달러(146억~278억 원)로 추산했습니다. 코리안리 측은 "해당 지역에서 평소 자연재해 위험을 감안해 위험 노출액 관리를 통해 보수적인 보험인수 정책을 유지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DB손해보험(DB손보)은 LA 팰리세이드 지역 3건, 이튼 지역 34건의 물건을 인수했었는데요. 아직 LA 산불 진압이 끝나지 않아 정확한 손실 규모 산정은 어렵지만, 이 모든 물건의 최대 예상 피해액은 500억~600억 원이라는 게 DB손보의 설명입니다. 이와 관련해 신한투자증권 임희연 연구원은 "DB손보 주가가 LA 산불로 인한 투자 심리 악화로 8% 이상 하락했는데, 최대 손실 규모가 600억 원으로 추정돼 올해 연간 실적에 대한 영향도는 3.4%에 불과하다"고 제언했는데요. 이어 "보험금 외에 추가적으로 복원보험료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복원보험료는 초과손해액 대비 일정 수준 요율을 부과해 산정되기 때문에 전체 계약 규모 고려 시 그 금액은 미미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전태민 기자/
[IE 산업] 이마트가 1000여 종의 모자를 최대 50% 할인하는 '모자 페스타'를 진행. 9일 이마트에 따르면 이마트가 패션 잡화 대규모 행사를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 이번 행사를 위해 확보한 물량 금액은 약 150억 원. 대표 브랜드를 보면 ▲엘르 ▲스케쳐스 ▲크로커다일 ▲케네스콜 ▲탠디 ▲피너츠 등이며 이월 재고 상품 대상으로는 균일가 1+1 할인 적용. 또 플라스틱병을 재활용해서 폴리머 섬유로 만든 친환경 모자도 판매. 이마트는 최근 길어진 고물가 기조에서도 이마트에서의 모자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점에서 이번 행사를 기획. 이마트가 패션 잡화 매출을 분석한 결과 올해 1~2월 시즌 모자 매출은 83.8%, 아동모자 매출은 86.9%가량 증가.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플라스틱병을 재활용해 만든 폴리머 섬유는 주로 페트병을 원료로 하며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 가능. 한 해 생산량은 전 세계적으로 약 900만 톤이며 전체 폴리에스터 섬유 생산량의 대략 13%를 차지.
과거와 현재의 오늘 벌어졌던 '깜'빡 놓치고 지나칠 뻔한 이슈들과 엮인 다양한 '지'식들을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민주당, 법사위서 조희대 특검법 처리 예정 어제 '조희대 대법원장 등에 의한 사법 남용의 진상 규명을 위한 특검법안'을 발의한 더불어민주당이 오늘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처리 예정.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에 한정한 신속 재판을 통해 후보직을 박탈하려고 했는지 국민적 의심이 해소돼야 한다는 게 민주당의 강조. 또 법사위는 이달 14일, 조 대법원장의 '대선 개입 의혹 진상 규명' 청문회도 실시 계획. 조 대법원장 고발은 조금 시간을 둔다는 입장. 박근혜 탄핵으로 19대 대통령 조기 선거 2017년 오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임시 공휴일 지정 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조기 선거 실시. 국정농단 등 헌법에 위배되는 범죄 의혹 등의 사유 탓에 당시 야당 의원들이 탄핵 소추를 발의해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인용. 2016년 12월9일 탄핵소추안 국회 가결에 이어 헌법상 대통령 권한 행사 정지 후 다음 해 3월10일 헌법재판소 재판관 전원일치로 대통령직 파면. 이후 대통령직이 궐위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당선. 흥선대원군, 서원철폐령 조선 시대
[IE 문화] 금주 [나들이 가GO이슈] 중 무작위 선정 행사는 오는 10일부터 11일까지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포천리 112-5, 지내들 돌탑공원에서 '찾아보리, 먹어보리, 즐겨보리'를 기치로 내걸고 열리는 '영광찰보리축제'. 전국 최대 찰보리 산지이자 최초 재배지인 영광의 찰보리축제는 군남면에서 매년 5월 개최하는 농업 축제로 농업적 가치와 지역 특산물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목적의 가족 중심 체험형 행사. 주요 프로그램으로 경연대회에서는 ▲전국 시낭송 대회 ▲허수아비 만들기 대회 ▲창작시 대회 ▲어린이 트로트 가요제 ▲공기 게임 대회 등 전개. 체험행사로는 ▲보리타작 ▲떡메치기 ▲전통놀이 ▲황금오리 잡기 ▲보리밭 보물찾기 ▲동물농장 ▲셀카 촬영 ▲풍선아트 ▲창포 샴푸 만들기 등 준비. 아울러 전남 최대 규모 허수아비 전시와 곤포 조형물, 보리밭 둘레길 포토스팟, 시화전, 바람개비 길 등 여러 볼거리도 마련했으며 군남 농악대, 난타, 플룻, 시낭송 콘서트, 축하쇼, 댄스파티 등의 공연 이벤트로 흥을 더할 예정. 이 축제에서 가장 유명한 이벤트는 허수아비 전시로 전국 허수아비 만들기 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직접 만든 작품을 비롯해 700여 점의 각양각색 허수
지난달 30일에 열려 오는 9일 폐막을 앞둔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의 열기가 아직도 뜨거운데요. 일일 티켓 매진율은 90%에 육박할뿐더러, 전주국제영화제에서만 즐길 수 있는 각종 부대행사에도 관람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전주국제영화제가 집중적으로 열리는 전주 완산구 '영화의 거리'에 들어서면 영화제를 상징하는 큐브 구조물과 오거리 문화광장이 방문객을 맞이하는데요. 특히 영화제 기간 오거리 문화광장에는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립니다. 이곳에 마련된 '전주라운지'에는 ▲더리터 ▲농심 ▲하이트진로 등이 부스를 통해 각종 이벤트를 준비했죠. 이 가운데 농심은 재작년에 이어 전주국제영화제 측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다양한 행사를 전개했는데요. 우선 영화제에 방문한 관계자들에게 '신라면 툼바'와 스낵 제품 '닭다리'를 제공했습니다. 또 문화광장에 위치한 농심 부스에서는 퀴즈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증 이벤트를 통해 신라면 툼바, 마라짜파게티, 배홍동칼빔면을 선물하는 중인데요. 지난 1일부터 운영 중인 농심 부스에는 일평균 1000명 이상의 참가자들이 방문했다고 합니다. 하이트진로 전주지점도 지난 2014년부터 영화제에서 홍보 부스를 꾸리고 있는데요.